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체중 편견 내재화와 낙인 대처 커뮤니케이션이 지각된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영문명
Weight Bias Internalizat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The Role of Obesity Stigma Coping Communication
발행기관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
저자명
유선욱(Sunouk You) 김수진(Soo Jin Kim)
간행물 정보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제24권 2호, 1~38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인의 체중 편견 내재화와 비만 낙인 대처 커뮤니케이션, 그리고 비만인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의 관련성을 알아보는 데 있다. 특히 비만인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를 가족 지지와 의료진 지지로 구분하여 실증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비만 낙인 대처 커뮤니케이션의 역할과 의미에 대해 검토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BMI 기준 과체중을 포함한 비만인 41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했다. 지각된 사회적 지지에 대한 체중 편견 내재화의 직접적인 영향과 비만 낙인 대처 커뮤니케이션의 직간접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가설과 연구 문제를 설정했다. 가설 검증과 연구 문제 분석을 위해 프로세스 매크로 model 4를 사용했다. 연구 결과, 비만인의 체중 편견 내재화가 클수록 수용적 대처와 초월적 대처가, 내재화가 작을수록 부정적 대처와 도전적 대처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체중편견 내재화가 클수록 비만인이 지각하는 가족 지지는 감소했다. 지각된 가족 지지에 대해서는 수용적 낙인 대처와 부정적 낙인 대처의 간접효과가 나타났고, 지각된 의료진 지지에 대해서는 초월적 대처와 도덕적 대처 커뮤니케이션의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내재화된 편견에 따라 달라지는 낙인 대처 커뮤니케이션 유형을 중심으로, 가족과 의료진 등이 세심하고 다각적인 지지 방식을 마련할 필요성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weight bias, stigma management communication (SMC),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mong individuals with overweight or obesity. A survey of 417 adults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internalized bias influences perceived support from family and healthcare providers. Using PROCESS Macro Model 4, the analysis revealed that higher internalized bias was linked to increased use of acceptance and transcendence-type SMC, while lower bias was associated with denial and challenging strategies. Additionally, internalized bia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perceived family support. Mediation analysis showed that perceived family support was indirectly influenced by accepting and denial-based communication, while support from healthcare providers was shaped by transcendence and challenging strategies.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MC styles in shaping how individuals perceive support. Encouraging awareness of available supportive resources may empower individuals to seek help, ultimately fostering healthier coping mechanisms and improved engagement in weight-related health efforts.

목차

1. 서론 및 문제 제기
2. 이론적 고찰
3. 연구모형 및 연구 문제
4. 연구 방법 및 분석 방법
5. 연구 결과
6.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선욱(Sunouk You),김수진(Soo Jin Kim). (2025).체중 편견 내재화와 낙인 대처 커뮤니케이션이 지각된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24 (2), 1-38

MLA

유선욱(Sunouk You),김수진(Soo Jin Kim). "체중 편견 내재화와 낙인 대처 커뮤니케이션이 지각된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헬스커뮤니케이션연구, 24.2(2025): 1-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