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옥외매체에서의 QR코드의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How QR codes are used in outdoor advertising
- 발행기관
- 한국OOH광고학회
- 저자명
- 이경렬 정만수
- 간행물 정보
- 『OOH광고학연구』제8권 제2호, 61~8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QR코드의 주요 접촉경로로 떠오르고 있는 옥외매체에서의 QR코드의 활용실태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QR코드 이용자들은 전단지, 브로슈어 등 옥외매체를 통하여 QR코드를 가장 많이 접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QR코드의 접족수단으로서 옥외매체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QR코드 이용자들은 QR코드를 통하여 식음료와 문화상품을 가장 많이 접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월 평균 1-2회 이용하며, 1회 평균 2-3분 정도 이용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QR코드 노출 후 이동경로 및 접촉 정보를 살펴본 결과 홈페이지(www) 혹은 모바일 웹을 통하여 제품정보에 가장 많이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QR코드 이용동기로는 단순한 호기심과 이벤트 참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QR코드의 장점으로는 프로모션과 이벤트에 참여가 쉽다는 응답이 많았으며, QR코드에 대해 대체로 유익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QR코드 이용 후 다른 사람들에게 지산의 경험을 전달하였다는 응답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Q코드의 구전효과가 상대적으로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인터넷을 통한 제품정보의 추가검색, 타인에게 제품추천, 매장 방문, 그리고 제품구매와 같은 구체적인 행동을 유발하는 효과는 아직 그다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QR codes are used in outdoor advertising. The results of survey showed brochure and pamphlet were top channels through which QR codes were exposed by QR code users. QR codes were used once or twice a month and 2-3 minutes on the average by QR code users. QR codes users were mainly exposed to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through internet home page or mobile web after scanning QR codes. QR code users utilized it to get fun, in curiosity, or participate in promotion and events. QR code users perceived the major advantage of QR codes was ease of participation of promotion and events. QR codes were effective in words of mouth, but were short of resulting in store-visit, recommending product or service to others, and product purchase. This study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sumers with fun and economic benefits such as coupon to obtain the ad effectiveness of QR codes.
목차
1. 연구목적
2. 문헌 및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요약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사회복지 종사자의 고객지향성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 국내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 비폭력대화(NVC)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 궐련형 전자담배와 연초에 대한 유해성 인식과 각종 담배 규제 방식에 대한 인식 비교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디지털 미디어와 독서의 융합 양상 연구
- 작가 주도형 출판 활동의 유형 분석 : 일제강점기(1910~1945) 문학 도서를 중심으로
- 숏폼 시대의 역행 : 프랑스 무크 저널리즘의 부상과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