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극장 관객의 심리적 반발 수준에 따른 극장 광고 태도에 대한 연구
이용수 6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the Level of Moviegoers' Pyschological Reactance on the Attitude toward the Cinema Advertising
- 발행기관
- 한국OOH광고학회
- 저자명
- 강태중
- 간행물 정보
- 『OOH광고학연구』제7권 제1호, 5~2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극장관객이 지닌 심리적 반발 개념에 기반하여 관객의 반발 수준에 따라 극장광고에 대한 태도가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관객의 심리적 반발을 구성하는 하위 차원들을 통해 어떤 요인들이 특히 차이를 유발하는지 조명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예상했던 바와 같이 극장관객의 반발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극장광고에 대한 태도가 비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동조에 대한 반발, 의존에 대한 반발, 타인영향에 대한 반발 등 3가지 하위 차원에서도 그 반발 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부정적인 극장광고 태도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re has been considerable controversy during the past year about the impact of cinema advertising in movie theatres. Nowadays, more and more moviegoers expresses their negative feelings, emotions and behaviors about the cinema advertising. In terms of this phenomenon,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level of moviegoers' psychological reactance on the attitude toward the cinema advertising. Results showed that the high level of moviegoers' psychological reactance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influence the formation of the attitude toward the cinema advertising. In the three sub factor structures(that is, reactance to compliance, reactance towards being dependent, and resisting influence from others) of psychological reactance, similar results are showed. In the final sect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re discuss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사회복지 종사자의 고객지향성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 국내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 비폭력대화(NVC)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 궐련형 전자담배와 연초에 대한 유해성 인식과 각종 담배 규제 방식에 대한 인식 비교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디지털 미디어와 독서의 융합 양상 연구
- 작가 주도형 출판 활동의 유형 분석 : 일제강점기(1910~1945) 문학 도서를 중심으로
- 숏폼 시대의 역행 : 프랑스 무크 저널리즘의 부상과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