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옥외광고 이미지의 의도하지 않은 효과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The Unintended Consequences of Idealized OOH Advertising Image on Audience's Self-Evaluation
- 발행기관
- 한국OOH광고학회
- 저자명
- 조재현
- 간행물 정보
- 『OOH광고학연구』제6권 제3호, 131~14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수용자들이 옥외광고에 있어서 유명인 광고모델 및 일반인 광고모델에 노출되었을 때 수용자들의 자존감 정도에 따라 그리고 성별에 따라 광고이미지의 의도하지 않은 효과라고 할 수 있는 자신의 외모에 대한 평가에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를 파악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수립된 2(피험자의 자존감 정도: 고 對 저) X 2(성별: 남성 對 여성) 요인설계방안에 따라 약 120여명의 대학생들이 이 실험에 참여했다. 분석결과, 자존감이 높은 사람보다는 자존감이 낮은 사람일수록 남성보다는 여성일수록 광고이미지에 의해 자신의 외모에 대한 평가를 낮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이런 경향은 일반인 광고모델을 사용했을 때 보다 유명인 광고모델을 사용했을 때 보다 더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사회적 맥락에서 나타나는 광고의 의도하지 효과가 개인의 특성에 따라 보편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unintended consequences of idealized advertising image(celebrity and typical consumer model) on consumer's self-evaluation(self perception of physical attractiveness) in terms of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gender. According to the 2(self-esteem: high versus low)x2(gender: male versus female) factorial design, approximately 120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the experiments.
Results showed that subjects in low self-esteem and female group were tend to show lower evaluation of their physical attractiveness when exposed to idealized advertising image of physical attractiveness. This was more significant especially in subjects exposed to celebrity of advertising than that of typical consumer.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might be an unintended consequences of idealized advertising image from the view point of social context.
목차
I . 연구 배경 및 목적
II. 문헌고찰 및 연구문제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옥외광고 관련 연구동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1990년대부터 2008년까지 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 소비자 사전태도가 매장요인과 소비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소비자들에게 커피전문점의 의미는 무엇이며, 어떻게 이용하는가?
- 대형소매점의 옥외광고가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미치는 연구
- 새로운 도시문화 조성을 위한 옥외광고디자인 정책과제 - 간판시범거리 조성사업 정책사례를 중심으로 -
- 모바일진의 광고매체 가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옥외광고 이미지의 의도하지 않은 효과에 관한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옥외광고협회 홈페이지 비교분석을 통한 대공중 관계(Public Relations) 개선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사회복지 종사자의 고객지향성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 국내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 비폭력대화(NVC)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 궐련형 전자담배와 연초에 대한 유해성 인식과 각종 담배 규제 방식에 대한 인식 비교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디지털 미디어와 독서의 융합 양상 연구
- 작가 주도형 출판 활동의 유형 분석 : 일제강점기(1910~1945) 문학 도서를 중심으로
- 숏폼 시대의 역행 : 프랑스 무크 저널리즘의 부상과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