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아의 예술경험에서 나타나는 신체표현에 대한 교사 상호작용 사례연구
이용수 231
- 영문명
- A Case Study of Interaction: Exploring Body Movement through Arts Experience
- 발행기관
- 한국영유아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이소연
- 간행물 정보
- 『영유아음악교육연구』제2권 제2호, 45~6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9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례연구로서 예술경험을 통한 신체표현의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느끼는 영아반 교사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여 예술경험을 통한 신체표현의 활성화를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관찰과 면담이며, 2021년 9월부터 2개월간 2세반 영아 5명과 담임교사 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영아의 비이동 동작과 이동 동작, 조작 동작을 사용한 신체표현이 나타남과 동시에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 중 예술경험 내용범주인 ‘아름다움 찾아보기’와 ‘창의적으로 표현하기’에 해당하는 예술경험을 통한 신체표현이 발현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만 2세반 영아들은 ‘아름다움 찾아보기’에서 자연과 생활에서 아름다움을 느끼고 즐기며신체표현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창의적으로 표현하기’에서 익숙한 노래와 리듬으로 신체표현을 하고 움직임과 춤으로 자유롭게 신체표현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상호작용은 ‘주의깊게 관찰하기’, ‘긍정적 언어와 비언어로 상호작용하기’, ‘영아와 함께 신체표현하기’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교사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신체표현을 하지 않는 것에서 신체표현을 시도하는 것으로, 한 가지 동작의 표현에서 다양한 표현의 동작으로, 혼자만의 표현에서 함께 어울려 만들어내는 표현으로 변화하는 모습이 확인되었다. 교사는 예술경험을 통한 신체표현에 대하여 영아가흥미를 찾도록 하는 것과 비참여에 대해 수긍하고 시도해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어려워했으나영아가 흥미를 느끼고 시도해 볼 수 있도록 유도하며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하기 위해 노력하는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술경험을 통한 신체표현에서의 긍정적 교사 상호작용은 영아의 신체표현을 확장시키며 영아와 교사간 예술경험이 상호 호혜적으로 발전할 뿐 아니라 현장에서의일상적 예술경험과 이를 통한 신체표현을 보다 자유롭게 표현하며 창출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case study aims to facilitate physical expression through artistic experiences by providing materials for infant teachers who encounter difficulties in fostering such interactions. The research utilized observation and intervews, Over a two-month period starting from September 2021, five infants and a homeroom teacher participated.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e emergence of physical expression among infants through non-movement, movement, and manipulation. Furthermore, physical expression was expressed through artistic experiences corresponding to categories such as 'finding beauty' and 'creative expression' during the 4th standard childcare course at daycare centers. It was found that second-generation infants experienced and enjoyed beauty in nature and life through 'searching for beauty’ and expressed themselves physically by engaging with familiar songs, rhythms, and movements and dances, demonstrating 'creative expression'. Teacher behavior was found to include careful observation, positive non-verbal interaction', and 'physical expression'. As a result of the teacher's interac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ants progressed from not expressing their bodies to attempting expressions, from limited movements to various expressions, ultimately culminating in collective expression. It was difficult for the teachers to engage the infants in physical expression through artistic experiences and to encourage them to participate, but they observed attempts by the infants to interact positively, which fostered interest and a willingness to try among the infants. In conclusion, ositive teacher interaction during physical expression through artistic experiences enhances infants' body expression. This not only fosters mutually beneficial artistic experiences between infants and teachers, but also encourages free body expression.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