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현장전문성을 갖춘 교사교육자의 유아음악교육 수업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
이용수 135
- 영문명
-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lasses Taught by Expert Teacher Educators
- 발행기관
- 한국영유아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방은영
- 간행물 정보
- 『영유아음악교육연구』제2권 제2호,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9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전문성을 갖춘 교사교육자의 유아음악교육 수업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S시 소재 C대학교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으로 유아음악교육 수업을 수강하는 예비유아교사 30명이다. 연구 기간은 2023년 8월 31일부터 12월 14일까지 총 15주 동안 이루어졌으며 분석을 위한 자료는 비구조화된 예비유아교사 면담노트, 매주 학습주제에 대한 기대보고서, 성찰보고서(2회/중간고사 기간, 종강 후), 연구자 노트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은 ‘음악의 아름다움을 쉽고도 재미있게 느끼기’. ‘노래 부르기 위주의 유아 음악활동에 대한 선입견으로부터 벗어나기’, ‘유아음악교육 실행자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기대와 자부심 느끼기’, ‘현장전문성을 갖춘 교사교육자로부터의 배움에 대한 만족감’, ‘타 교과목 수업에도 동일한 경험을 기대하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현장전문성을 갖춘 교사교육자로부터 현장적용 중심의 이론과 실제에 바탕을 둔 음악수업이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제공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가 대학에서의 교과목 담당 교수의 배정에서 유아음악교육 수업의 경우, 특히 현장전문성을 갖춘 교사교육자에게 수업을 배정하여 예비유아교사들에게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질 높은 수업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해 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s i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lasses taught by teacher educators with field expertise. Thirty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C University in S City and taking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lass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earch was conducted over a period of 15 weeks, from August 31, 2023, to December 14, 2023. Data for analysis included unstructured interview notes from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ekly expectations reports on learning topics, and reflection reports. During the examination period and after the end of the semester, the researcher's not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several experiences reported by the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Feeling the beauty of music in an easy and fun way’, ‘Escaping from preconceptions about children’s music activities centered on singing’, ‘Feeling anticipation and pride in the possibility of being practitioners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Satisfaction with learning from a teacher educator with field expertise’, ‘Appreciation for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classes in other subjects’, and 'Expecting similar experiences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e necessity of offering music classes based on field application-oriented theory and practice to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during their training.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