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하철 와이드 칼라광고의 모델 유형과 글자유형에 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s of the subway wide color advertising by the type of the endorser and the type the language
- 발행기관
- 한국OOH광고학회
- 저자명
- 박진우 최은하
- 간행물 정보
- 『OOH광고학연구』제2권 제2호, null~null쪽, 전체 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8.31
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지하철 오fO I 드 칼라 광고에 언어적 요소를 다르게 했을 때 정보원 성별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효과가 달라질 수 있는지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험을 하였다. 종속변수의 측정결과 모델유형과 카피유형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는 광고에 대한 태도, 상표에 대한 태도, 구매의도에서 발생하였다. 측, 세 가지 종속측정치 모두 남자 정보원 모델이 등장 했을 때는 영어카피가 있는 광고물에 더 높은 반응을 보였으며, 여자 정보원이었을 경우에는 혼용하고 있는 카피가 더 강한 효과를 일으켰다. 주효고l<>l l 있어서는 광고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만 나타났다. 광고에 대한 태도는 남자 정보원이 여자 정보원보다 더 호의적인 반응을 유도하였고 영어카피가 다른 카피 보다 높은 수준의 효과를 나E땄t다. 구매의도 역시 마찬가지로 남자 정보원이 더 설득적인 것으로 밝혀졌지만 카피는 한글카피가 가장 높은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researchers tri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ubway wide color advertising format by the types of the endorser and the language. As results, th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revealed in all of the dependent measures- Aad, Ab, PI. Also, the significant main effects were revealed in the Aad, and PI. Finally, the limitation and the suggestion for the future study were presented.
목차
I. 서론
II.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