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별과 관여도에 따른 옥외광고의 커뮤니케이션 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Outdoor advertising of communication effect to gender and involvement
- 발행기관
- 한국OOH광고학회
- 저자명
- 한광석
- 간행물 정보
- 『OOH광고학연구』제2권 제2호, 19~4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광고에 대한 성별에 따른 광고정보를 처리하는 데 있어서 성별에 따라 다르다는 기존 연구들(Bellizzi & Milner, 1991: Darley & Smith, 1995) 이 옥외광고에도 적용됨을 이번 연구를 통해 검증되었다. 또한 여성들의 감각적 능력으로 인해 언어적, 비언어적 메시지 단서들을 보다 정확하게 구사한다는 (Chamblee, Gilmore, Thomas, & Soldow, 1993)의 연구들이 옥외광고에도 그대로 적용되었다. 이러한 기존 연구들을 토대로 볼 때 옥외광고에 있어 여성들에게 소구할 때는 광고물의 카피를 이번 실험 광고물의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다”, “100% 천연 쥬스”와 같이 의 미를 정확하고 명확하게 하는 것이 인쇄광고나 방송광고와 비교해서 보다 옥외 광고물을 제작하는데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dvertising effects such as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ttitude toward brand, purchase intention, and brand recall according to the involvement and the gender in outdoor advertising.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summarized as followed.
First, there wer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involvement and the gender in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ttitude toward brand, but not in purchase intention.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ender in brand recall.
Second, there was main effect by the involvement in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ttitude toward brand, but not by the gender. Concretely, the involvement affected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ttitude toward brand, and the high involvement product showed more positive responses. Also, both of male and female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ttitude toward brand. Especially male showed positive attitude toward advertising, attitude toward brand in high-involvement product, but female showed positive attitude toward brand in low-involvement product.
Finally, there was main effect by the involvement and the gender in purchase intention. Higher purchase intention was showed in high-involvement product than in low-involvement product, and in female than in male. Also, High brand recall was showed regardless in gender. In conclusion, outdoor advertising affected memory and recall brand,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gender.
목차
I.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사회복지 종사자의 고객지향성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 국내 양적연구를 중심으로
- 스마트 교육과 디지털 교과서 연구 동향
- 비폭력대화(NVC)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SNS 콘텐츠 특성에 따른 효과 분석 : 인스타그램 댓글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일제 강점기 광고에 대한 역사적 고찰 : 1906년 부산안내지(釜山案內誌)에 나타난 광고를 중심으로
- 시장집중도를 활용한 옥외광고 매체평가 연구 : 신매체의 시장경제성 평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