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기능 저하 환자의 조영제 신독성 예방에 관한 근거기반간호 사례
이용수 251
- 영문명
- Evidence-based Nursing Case on Prevention of Contrast-induced Nephrotoxicity in Patients with Renal Insufficiency
- 발행기관
- 한국근거기반간호학회
- 저자명
- 조영진 조윤주 신소라 권지혜 김선경 박정옥 이미정 이현진 안정아
- 간행물 정보
- 『근거와 간호』제11권 제1호, 1~6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impact of oral or intravenous fluid therapy to prevent contrast-induced nephrotoxicity in patients with renal insufficiency undergoing contrast-enhanced computed tomography (CT). Methods: We searched five electronic databases and reviewed prior studies according to the criteria. Finally, thre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and one non-random-ized study of intervention (NRSI) were selected. Results: According to the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the quality eval-uation was checked, and the results were 1++ for one RCT, 1+ for two RCTs, and 2+ for one NRSI. There was an insufficient benefi-cial evidence of pretreatment with intravenous fluid therapy to prevent contrast-induced nephrotoxicity in patients with reduced renal function undergoing contrast-enhanced CT. Conclusion: We recommend that patients with renal insufficiency with an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eGFR) of 45~59 mL/min/1.73 m² can undergo contrast-enhanced CT without oral or intravenous fluid therapy as a pretreatment agent, and those with eGFR of 30~44 mL/min/1.73 m² can be treated with oral hydration treatment to prevent con-trast-induced nephrotoxicity. However, for patients with high risks, the decision to administer pretreatment should be consider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 patient’s clinical condition and the clinical expertise of healthcare providers.
영문 초록
목차
배경 및 목적
임상질문
근거검색
근거의 비평적 평가와 근거수준
권고등급과 권고안
임상실무 적용
평가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생산직 근로자의 수면시간이 심혈관질환 위험에 미치는 영향: 제8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20년도) 기반으로
-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인간중심돌봄 간의 관계에서 소진과 공감역량의 매개효과
- 병원간호사가 인식하는 긍정간호조직문화, 잡크래프팅, 직무열의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