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Digitalisierung und Verbrauchervertrage in der Europaischen Union
이용수 50
- 영문명
- 유럽연합에서 디지털화와 소비자계약
- 발행기관
- 한국민사법학회
- 저자명
- JUrgen Basedow
- 간행물 정보
- 『민사법학』제105호, 327~34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Die Digitalisierung des Geschaftslebens hat in den letzten 20 Jahren gewaltige Fortschritte erlebt. Gerade in der Pandemie der Jahre 2020 und 2021 hat sie den Prasenzhandel in vielen Bereichen in den Hintergrund gedriingt. Der iiber Websites vermittelte Vertragsschluss wird in vielen Sektoren zur Regel. Damit entstehen filr das Recht und gerade auch das Vertragsrecht neue Aufgaben. Denn die Vertragspartner kennen einander im digitalisierten Geschaftsleben nicht. Anders als im personlichen Miteinander kann kein Vertrauen in die andere Seite aufgebaut werden. Jede Vertragspartei neigt auch s曲ker als im Prasenzhandel dazu, die anonyme Gegenpartei durch opportunistisches Verhalten zu iibervorteilen. Diese Risiken sind besonders groB bei Verbrauchergeschaften, wo zwischen den Vertragsparteien im Allgemeinen ohnehin ein Ungleichgewicht der geschaftlichen Erfahrung und der finanziellen Moglichkeiten besteht.
영문 초록
거래관계에 있어서 디지털화는 최근 20년간 대단한 진보를 이루었다. 특히 2020년과 2021년의 판데믹 상황에서 이는 많은 영역에서 실물거래를 밀어내게 되었다. 웹사이트를 통한 계약체결은 많은 영역에서 일반적이게 되었다. 이에 따라 법에서 그리고 특히 계약법에서 새로운 과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는 계약상대방들이 디지털화된 거래관계 에서는 서로를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 서로 간에 거래하는 경우와 달리 타방 당사자에 대한 신뢰도 구축될 수가 없게 되었다. 또한 실물거래에서의 경우와 달리 각 계약당사자들은 자신들의 기회주의적 행동을 통해서 자신에게는 익명인 상대방을 이용 해 이득을 취하려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위험은 소비자계약, 즉 계 약당사자들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거래 경험 및 재정 가능성의 불균형이 존재하는 곳에 서 특히 심각하다.
목차
1. Regelung digitaler Vertragsschlusse
2. Regelung digitaler Vertragsgegenstande
3. Grundzuge der Digitalrichtlinie
4. Fazit
1. 디지털 계약체결의 규율
2. 디지털 계약대상(digitale Vertragsgegenstande)의 규제
3. 디지털지침의 특징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인증여(死因贈與)의 철회 - 대상판결: 대법원 2022. 7. 28. 선고 2017다245330 판결 -
- 위탁자의 신탁부동산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
- 독일조합법 개정과 단체의 소유형태에 관한 고찰 - 우리 민법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
- Digitalisierung und Verbrauchervertrage in der Europaischen Union
- 평등의 원칙과 사법 (私法)
- 지식재산권에 대한 담보권설정과 자산유동화 - 특허권을 대출에 활용하기 위한 측면에서 일괄담보 -
- 추완청구권과 민법 개정
- 채권양도, 채권질권의 귀속 • 경합에 관한 소고 - 권한 없는 처분, 수령을 둘러싼 최근의 대법원 판결례를 중심으로 -
- 인공지능(AI)의 민사책임 - EU의 입법을 중심으로 -
- 공법과 사법의 대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디지털게임연구 제1권 제1호 목차
- 비주얼 노벨 게임의 장르적 정체성과 매체 특수성 연구: 미스터리·호러 장르를 중심으로
- 게임 이용 중 멀티태스킹이 몰입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장르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