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특수교사 교육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수준 연구
이용수 50
- 영문명
- A Study on the Level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y for Education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이미아 김태강
- 간행물 정보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제14권 제2호, 125~14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특수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수준을 분석하고 특수교육의 발전 계획 수립 및 예비특수교사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광주․전남, 부산․경남 지역의 예비특수교사 168명을 대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수준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테크놀로지 활용지식이 가장 낮았으며, 테크놀로지 일반지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년 간 테크놀로지 교육학 지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수업실연 경험 유무에 따라 테크놀로지 교육학 지식 영역에서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역량 강화프로그램 참여 유무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예비특수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함양에 대하여 논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y of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Gwangju․Jeonnam and Busan․Gyeongnam.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f a total of 168 pre-service special teachers to analyze the level and difference in digital literacy capab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digital literacy competency of pre-service special teachers was the lowest in technology utilization knowledge, and the general knowledge of technology was the highest. Depending on the background variabl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chnology pedagogy knowledge between grades.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knowledge area of technology pedagogy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lass demonstration experience. Finally,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participated in the digital competency building program.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development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of pre-service special teachers was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중도입국 청소년의 한국에서의 또래관계 형성 어려움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이주배경학생 교육지원 정책 변화 분석: CIPP 모형 기반 중앙정부-경기도교육청 비교연구
- 이주 배경 학생들의 ‘문화’를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 문화감응교수를 활용한 KSL 수업 실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