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족놀이치료의 활용 현황과 상담자의 창의성
이용수 228
- 영문명
- Current Status of the Use of Family Play Therapy and Counselors’ Creativity
- 발행기관
- 한국가족치료학회
- 저자명
- 전영주 남경화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가족과 가족치료 제31권 제3호, 243~27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상담자들을 대상으로 가족놀이치료의 활용 현황 및 상담자 본인의 창의성에 대해 살펴본 설문조사 연구이다. 연구참여자는 아동, 청소년, 가족 관련 공공 및 사설 상담 기관에서 활동하고 있는 상담자 170명으로 눈덩이 표집 방법으로 이들에게 온라인설문을 배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상담자의 절반 이상이 가족 회기에서 가족평가나 상담의 보조 또는 주요 활동으로 놀이를 활용하고 있으며, 놀이 매체 중 피규어, 카드, 보드게임, 미술매체 등을 상대적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가족놀이치료의 장점과 어려움, 가족유형에 따른 가족놀이치료의 활용도, 선호하는 상담모델 등에 대한 현황을 보고하였다. 둘째, 상담자의 창의적 표현이 가능한 영역으로 미술이 가장 높았고, 약 절반의 응답자가 임상에서 창의적 접근을 사용한다고 응답하였다. 상담자의 창의적 사고 관련 요인 중 끈기가 가장 높았으며 호기심과 즐거움 등이 뒤를 이었다. 셋째, 가족놀이치료의 활용은 상담자의 성별, 교육수준, 임상적 창의성, 자신감 및 즐거움 등과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족놀이치료의 향후 과제와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s the status of the use of family play therapy (FPT) in practice, as well as counselors‘ creativity. Methods: Online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170 counselors working with children, adolescents, and families, based on snowball sampling. Survey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Results: First,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use FPT in family sessions for assessment or for supplementary and/or major therapeutic interventions, mostly prefering figures, cards, board games, and art. The advantages and obstacles in using FPT, utilization of FPT by family type, and the preferred therapeutic models were also reported. Second, in terms of counselors’ creativity, art was the major area of the respondents’ personal expression of creativity, with almost half of the respondents reporting that they use this creative approach in their practice. Regarding counselors’ creative thinking, respondents perceived that they have patience, curiosity, and joy the most. Third, the use of FPT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counselor’s gender, education, clinical creativity, confidence, and pleasure. Conclusion: FPT issues for future development and direction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