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ffects of Yoga, Social Support Groups, and Kangaroo Care on Post Partum Depression : A Systematic Review
이용수 0
- 영문명
- Effects of Yoga, Social Support Groups, and Kangaroo Care on Post Partum Depression : A Systematic Review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Kailie Powder Patricia Fingerhut Claudia Hilton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7권 제3호, 157~16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ystematic review examines the efficacy of non-medical interventions, yoga, social support groups, and kangaroo care, on women who experience Postpartum Depression(PPD) to determine the utility for use in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Benefits of these non-medical interventions included decreased depressive symptoms and improved mood postpartum.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benefits of non-medical interventions for perinatal clients. Search engines included CINAHL, Cochrane Library, PubMed, and Scopus. Initial searches yielded 110 articles based on specified search terms. After screening with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13 articles were selected. Strong evidence supports the use of yoga in reducing symptoms of PPD. Moderate evidence supports the use of social support groups and kangaroo care as effective interventions in reducing PPD symptoms.
목차
Ⅰ. Literature Review
Ⅱ. Methods
Ⅲ. Results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ffects of Yoga, Social Support Groups, and Kangaroo Care on Post Partum Depression : A Systematic Review
- 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 고령자의 라이프스타일 구성요소에 관한 사전연구 : 델파이 조사
- 가정방문 작업치료에 대한 체계적 고찰
- 학령전기 아동의 일상생활활동에 기반한 감각조절기능 평가항목 개발
- 고객중심 여가활동이 뇌졸중 환자의 신체기능,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뇌졸중 환자의 감각과 시지각 기능훈련을 위한 다목적암맹상자(multi-purpose blind box)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A Comparison of two Computer-Assisted Cognitive Training Program Outcomes for Breast Cancer Survivors : A Pilot Study
- 보호자 부양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치매환자의 인지기능과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주요인 분석
- 국내 작업치료분야에서 시행한 인지재활치료가 작업수행에 미치는 효과에대한 메타분석 : 학회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 한글판 The Child and Adolescent Scale of Participation(CASP)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 고령자를 위한 일어서기 보조기기 개발 및 평가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된 질적 연구 보고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