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된 질적 연구 보고 분석
이용수 12
- 영문명
-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김슬기 박경희 박태홍 임희수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7권 제3호, 1~1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된 질적 연구 보고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 연구자들은 1993년 창간호부터 2018년까지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수록된 논문 692편 중 질적 연구 16편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들을 Tong 등(2007)이 개발한 질적 연구 보고 통합 기준(COnsolidated criteria for REporting Qualitative research; COREQ)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결과 : 논문을 분석한 결과 첫 번째 ‘연구팀과 성찰’영역에는 연구 목적 및 참여자 권리와 연구자 의무에 대한 고지 항목은 잘 지켰으나 연구자의 경험과 훈련 보고 항목은 미흡했다. 두 번째 ‘연구 설계’ 영역에 서 연구 방법론은 현상학이 가장 많았으며 면접 지침은 대부분 논문에서 제시하였다. 하지만 면접 탈락 자 및 면접 환경 보고는 미흡했다. 그리고 세 번째 ‘분석과 결과’ 영역에서 참여자 인용문과 주제 제시의 항목은 대체로 잘 지켜졌으나 면접자 점검 항목은 잘 지켜지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는 COREQ가 질적 연구 보고 분석에서 체계적인 보고 틀을 제공하여 연구 방법의 일관성 과 연구 방법의 투명성을 높일 수 있는 유용한 지침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COREQ의 활용 은 작업치료 질적 연구 보고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qualitative research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The researchers identified 16 qualitative studies among 692 papers in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from the first issue in 1993 until 2018. These studies were analyzed using COnsolidated criteria for REporting the Qualitative research(COREQ) developed by Tong et al(2007). Results: The first domain, “Research team and reflexivity”, properly maintained the notification items for research purposes, as well as the participants’ rights and the researchers’ duties, whereas the reported items of researcher experience and training were insufficient. In the second domain, “study design”, phenomenology was the most common research methodology, and most of the interview guidelines were presented in the paper, although interview dropouts and interview environment reports were insufficient. Finally, in the third domain “Analysis and findings”, the participants’ quotations and topic presentation items were generally well followed, but the participant checking was not.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COREQ can provide a systematic reporting framework for qualitative research and can be a useful guideline to improve the consistency of the research methods and the transparency of the research methods. Therefore, COREQ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in quality of the qualitative research conducted in occupational therap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ppendix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ffects of Yoga, Social Support Groups, and Kangaroo Care on Post Partum Depression : A Systematic Review
- 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 고령자의 라이프스타일 구성요소에 관한 사전연구 : 델파이 조사
- 가정방문 작업치료에 대한 체계적 고찰
- 학령전기 아동의 일상생활활동에 기반한 감각조절기능 평가항목 개발
- 고객중심 여가활동이 뇌졸중 환자의 신체기능,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뇌졸중 환자의 감각과 시지각 기능훈련을 위한 다목적암맹상자(multi-purpose blind box)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A Comparison of two Computer-Assisted Cognitive Training Program Outcomes for Breast Cancer Survivors : A Pilot Study
- 보호자 부양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치매환자의 인지기능과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주요인 분석
- 국내 작업치료분야에서 시행한 인지재활치료가 작업수행에 미치는 효과에대한 메타분석 : 학회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 한글판 The Child and Adolescent Scale of Participation(CASP)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 고령자를 위한 일어서기 보조기기 개발 및 평가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된 질적 연구 보고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