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작업치료분야에서 시행한 인지재활치료가 작업수행에 미치는 효과에대한 메타분석 : 학회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이용수 8
- 영문명
- Effects of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for Occupation Performance Among Korean Literature : A Meta-analysis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홍승표 유연환 박혜연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7권 제3호, 91~10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9.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국내 작업치료분야에서 시행한 인지재활치료가 작업수행에 효과적인지 메타분석으로 종합하여 그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국내 논문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어를 사용하여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를 두 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검색하여 선정하였다. 선정기준에 부합한 연구는 총 12편이었고, PEDro 척도를 사용하여 연구의 질적평가를 실시하였다. 메타분석은 Comprehensive Meta-Analysis 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과 : 분석된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는 총 471명이었고,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컴퓨터기반인지재활치료가 작업수행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0.542로 ‘보통 효과크기’, 작업기반인지재활치료가 작업수행에 미치는 효과크기는 0.768으로 ‘큰 효과크기’에 가까웠다. 두 가지 인지재활치료의 효과크기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통계적 이질성 검정에서 유의미한 이질성이 있어 연구결과 통합 시 랜덤효과모형을 선택하여 분석하였고, 출판편견은 유의미하지 않아 신뢰할 만한 연구결과였다. 결론 : 국내 작업치료에서 시행한 인지재활치료는 작업수행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인지재활치료를 시행하는 작업치료사들의 중재에 대한 근거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is study aimed at finding the effects of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oroccupation-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in terms of the occupation performance based on a systematicreview and meta-analysis found in Korean research. Methods: For this purpose, Korean studies conducted on subjects undergoing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wereresearched. A total of 12 studies were included in this meta-analysis. All studies included addressed cognitiverehabilitation therapy by comparing computer-based and occupation-based approaches, and were publishedbetween 2010-2019. We used the Comprehensive Meta-Analysis 3.0 program to analyze the data. Results: Using a fixed effect analysis, the effect size for the effectiveness of a computer-based cognitiverehabilitation therapy is medium(d = .542)(p < 0.05). However, the effect size for the effectiveness ofoccupation-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is nearly large(d = .768)(p < 0.05). Conclusion: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and occupation-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were both shown to have a positive possibility for improving occupational performance. However, further researchis needed to ground the evidence and support the clinical use of goal setting for occupational therapis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ffects of Yoga, Social Support Groups, and Kangaroo Care on Post Partum Depression : A Systematic Review
- 건강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 고령자의 라이프스타일 구성요소에 관한 사전연구 : 델파이 조사
- 가정방문 작업치료에 대한 체계적 고찰
- 학령전기 아동의 일상생활활동에 기반한 감각조절기능 평가항목 개발
- 고객중심 여가활동이 뇌졸중 환자의 신체기능, 자기효능감,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뇌졸중 환자의 감각과 시지각 기능훈련을 위한 다목적암맹상자(multi-purpose blind box)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A Comparison of two Computer-Assisted Cognitive Training Program Outcomes for Breast Cancer Survivors : A Pilot Study
- 보호자 부양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치매환자의 인지기능과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주요인 분석
- 국내 작업치료분야에서 시행한 인지재활치료가 작업수행에 미치는 효과에대한 메타분석 : 학회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 한글판 The Child and Adolescent Scale of Participation(CASP)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 고령자를 위한 일어서기 보조기기 개발 및 평가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된 질적 연구 보고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