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작업치료의 일상생활동작훈련치료 실태 조사
이용수 9
- 영문명
- A Survey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Training for Occupational Therapy in Korea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이춘엽 장문영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2권 제2호, 35~4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작업치료의 일상생활동작훈련치료에 대해 일반적인 사항, 환경, 내용, 법안 개정 이후 변화 등과 관련한 전반적인 실태를 조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3년 4월부터 9월까지 국내의 성인 및 노인 대상의 작업치료실에 우편 및 이메일로 설 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84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 일상생활동작훈련치료를 받는 1일 평균 환자의 수는 7.47명이었고 1회당 평균 치료 시간은 20분이 75.0%로 가장 많았다. 일상생활동작훈련치료의 평가 횟수는 한 달에 한 번이 60.7%로 가장 많았고사용하는 평가도구로는 수정된 바텔 척도(Modified Barthel Index; MBI)가 56.6%로 가장 많았다. 일상생활동작훈련치료 실의 환경은 공간을 분리한 경우가 76.2%이었고 가구 및 설비가 갖추어진 공간은부엌 및 식당이 45.2%로 가 장 많았다. 치료 내용으로는 옷 입고 벗기 훈련이 22.4%, 의사소통관리 훈련이 22.1%로 가장 많았고 법안 개 정 이후 변화로 수익의 변화가 없었던 경우가 47.7%로 가장 많았다. 결론 : 본 실태 조사는 국내의 일상생활동작훈련치료에 대한 체계를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이 이루어진다면 국내 작업치료의 발전에 토대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aimed at surveying the ADL training for occupational therapy, such as general matters,context, detailed treatment activities, and changes after a revision of the legislation in Korea. Methods : Eighty-four occupational therapists that treat adult and elderly patients were chosen randomly. And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using mail and e-mail. Results :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on average, 7.47 people were treated during the day,and 75.0% of respondents performed ADL training for 20 minutes at a time. Second, the best ADL assessmentused was the Modified Barthel Index (56.6%), which was usually evaluated once a month (60.7%). Third, 76.2%of the respondents have an independent ADL room, and 45.2% of the respondents have a kitchen and dining room. Fourth, they usually conduct dressing (22.4%) and communication management (22.1%) training. Fifth, there wasno change in revenue after the revision of the legislation (47.7%). Finally, the importance of ADL training washigher than the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Conclusion : This survey of domestic ADL training will provide basic data for a treatment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