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뇌졸중 환자의 자기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용수 7
- 영문명
- The Factors Affecting Self-care Activities of Stroke Patients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유두한 이재신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22권 제2호, 1~1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자기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운동과 감각 그리고시 지각적인 변인들을 고려하여 상지기능과 자기관리활동과의 인과적 관계를 경로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 다. 연구방법 : 160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운동과 감각 그리고 시지각적인 요인과 함께 상지기능과 자기관 리활동의 상관성을 측정하고,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경로모형에 따른 적합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뇌졸중 환자의 자료는 통계적 절차를 위해 부호화하여 입력하였으며, SPSS 18.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손의 근력과 감각력, 시지각을 외생변인으로 선정하여 매개변인인 기능적인 상지의 수행능력과 최종 내생변인인 자기관리활동의 독립성에 미치는 인과적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Amos 16.0의 최대우도법(Maximum Likelihood; ML)을 통해 경로분석의 추정절차를 사용하였다. 결과 : 최종 내생변인인 자기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외생변인과 매개변인이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구조방정식모형에 대한 측정 모형의 적합도 검증 결과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변인인 상지기능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손의 근력(β=0.964)으로 나타났고, 최종 내생변인인 자기관리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감각(β=-0.590)과 시지각(β=-1.228)으로 나타났다. 운동과 감각그리고 시지각적인 요인들은 상지기능의 매개변인을 통해 자기관리활동에 유의한 직접·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자기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시지각적인 요소뿐만 아니라 사회·심리적 요인 등을포함 한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추론적 연구들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self care activities of strokepatients. Methods : To confirm the measurement model consisting of the sensory, motor, and visual perception of 160 strokepatients; the upper function; and the self care activity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perform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Amos 16.0, for SEM. Results : The analysis results among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self care activities showed a significantcorrelation, and the results of the SEM showed the significant fitness of the model.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upper extremity function as a mediating variable were motor skills (grip and pinch, β=0.964). In addition, the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self care activities as a final endogenous variable were sensory (β=-0.590) andvisual perception (β=-1.228). The factors affecting the self care activities throughout the upper extremityfunction directly or indirectly were the motor, sensory, and visual perception. Conclusion : Additional studies on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the self care activities of strokepatients will be necessar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