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상행동을 가진 치매노인에게 적용한 다감각환경의 효과에 관한 고찰
이용수 34
- 영문명
- A Review of the Application of Snoezelen on BPSD of Older People With Dementia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한상우 이재신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16권 제4호, 113~12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서론 : 치매노인의 이상행동에 관한 다감각자극 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알아보고자, 기존 연구문헌들의 대상자, 연구 설계, 분석방법 및 결과, 제한점 등을 통하여 후속연구에 필요한 정보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론 : 자료는 PubMed에서의 데이터 정보를 통해 ʻʻdementia, multiple sensory, snoezelen, Behaviou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BPSD)ʼʼ에 해당하는 연구들을 검색하여 수집하였다. 그 중 치매노인의 이상행동에 관한 다감각자극 프로그램의 적용에 대한 12개의 연구결과를 대상자, 연구 설계, 측정도구, 치료방법 및 결과, 분석방법, 제한점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치매노인의 이상행동에 다감각자극 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들에서 모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10개의 연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비교연구에서는 다감각자극 프로그램그룹에 속한 그룹이 일반적 보호관리가 이루어진 통제군과 작업활동이 적용된 대조군보다 의식수준, 반항적 행동, 우울증상, 무감동적 행동, 공격적 행동, 상호작용능력 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중재기간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이거나, 추적조사에서는 다시 이상행동이 증가함에 따라 중재전과 비교하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결과도 있었다.
결론 : 치매노인의 이상행동 감소에 다감각자극 프로그램적용이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나 그 유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Introduction : This research tries to provide the information needed for succeeding research through investigating the subjects, research designs, analysis methods and results, and limits of the existing literature in order to look at the applicational effects of a multisensory environment for the aged with dementia showing abnormal behavior. Body : The materials of the research were collected by retrieving research items in the areas of 'dementia, multiple sensory, snoezelen, and Behaviou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PSD)' from the data base of PubMed. Among the collected materials, 12 research results are suggested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a multisensory stimulation program to the aged with dementia showing abnormal behavior in terms of subject, research design, measurement tool, cure method and result, analysis method, and limit. All the researches that applied a multisensory stimulation program to the aged with dementia showing abnormal behavior show a positive effect, and 10 researches present a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the group of multisensory stimulation programs shows more meaningful difference than a control group that was normally protected and managed, and a comparison group that was applied by activities in awareness level, defiant behavior, depression symptoms, apathetical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and interaction ability. However, some of the results show a meaningful difference only during the mediation period or present the re-appearance of abnormal behavior during a follow-up survey. That is, these results do not show a meaningful outcome compared to the results before the mediation period. Conclusion : The multisensory stimulation program shows a positive effect toward the reduction of abnormal behavior of the aged with dementia, but follow-up research to maintain the positive effect is needed.
목차
I. 서론
II. 본론
III.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상재인에서 라인드로잉(line drawing)의 효과
- 만성기 편마비 환자에서 상지 운동기능 회복에 대한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의 효과
- 급성기와 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수행력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적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 경증치매환자에서의 집단인지재활 치료효과 - 작업치료 치료과정모델을 중심으로 -
- Work sampling 기법을 이용한 자동차부품공장 근로자의 근골격계질환 위험수준 분석
- 이상행동을 가진 치매노인에게 적용한 다감각환경의 효과에 관한 고찰
- 재활병원에 입원한 척수손상환자들의 작업수행 문제들과 시간사용에 관한 연구
- 직업에 복귀한 요통산재근로자에 대한 작업강화 프로그램 효과
- 무게감 있는 조끼를 적용한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아동의 뇌파변화
- 뇌졸중 환자에 대한 체간 조절과 균형 및 일상생활활동작 평가 도구의 비교 ; PASS, TCT, BBS, FM-B, MBI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들의 안전교육 필요성에 관한 조사
- 성인의 비자살적 자해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노인의 디지털 접근성과 사회적 고립 간의 관계: 2023 노인 실태조사 기반 분석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간호대학생의 리더십과 핵심간호역량과의 관계에서 윤리적 민감성의 매개 효과
- 다문화가구 과체중 및 비만 성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 Factors Influencing the Parental Self-Efficacy of Vietnamese Immigrant Mother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