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사회 경증치매환자에서의 집단인지재활 치료효과 - 작업치료 치료과정모델을 중심으로 -
이용수 19
- 영문명
- Focused effects of a Group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on Mild Dementia Patients in a Community - Focus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Process Model -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정원미 이동영 유승호 황윤정 추일한 김슬기 김기웅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16권 제4호,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 작업치료 치료과정모델에 근거한 집단인지재활치료가 경증치매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인지기능과 우울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치매환자를 위한 인지재활치료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2007년 8월부터 2008년 7월까지 서울시 관악구 치매관리센터와 성북구 치매지원센터에 내원한 경증 치매환자 14명을 대상으로 주 2회 8주 동안 16회 집단인지재활치료를 실시하였으며, 4주 후 추적평가까지 총 12주 동안 연구를 실시하였다. 집단인지재활치료는 작업치료 치료과정모델에 근거하여 보상모델, 교육모델, 회복모델과 습득모델을 선택하여 실시하였으며, 치료 전후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인지기능과 우울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유사 실험연구로써 단일군 전후실험설계를 적용하였다. 결과 : 집단인지재활치료 실시 전에 비하여 실시 후에 경증치매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언어유창성검사, 간이정신상태검사, 인지수준판별검사 등의 인지기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여 치료효과가 확인되었다(p<.05). 하지만 보스톤 명명검사, 단어목록기억 검사, 구성능력 및 구성회상 검사 등의 인지기능검사에서는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또한 노인우울척도 상에서도 유의한 우울 증상 개선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경증치매환자에 있어 작업치료 치료과정모델에 근거한 집단인지재활치료는 전반적인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 향후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경증 치매환자의 기능향상을 위한 보다 다양한 인지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Group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GCRT) based on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Process Models (OTIPM)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of mild dementia patients, and to suggest the basic data for GCRT for dementia patients. Methods : GCRT was applied two times a week for eight weeks to 14 mild dementia patients who visited the Gwanak Center for Managing Dementia and the Seongbuk Center for Dementia in Seoul between August 2007 and July 2008.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12 weeks including a tracking evaluation conducted four weeks later. Based on OTIPM, the GCRT was applied by selecting a compensation model, an education teaching model, a restorative model, and an acquisitional model. Moreover, a one-group pretest-post test design, which is a quasi-experiment and research tool, was also applie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rehabilitation therapy on the subjects' ability toward ADL,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on. Results : A significant effect was confirmed (p<.05) from the GCRT, which was comprised of a verbal fluency test, MMSE-KC, ACL, and AMPS. In contrast,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in MMSE-KC, which was comprised of Boston naming, word list memory, constructional praxis, and word list recall tests. No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the depression syndromes from GDS was found either. Conclusion : It seems that GCRT based on OTIPM has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ability toward ADL and on the cognitive function of mild dementia patients living in a community.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고찰
V.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상재인에서 라인드로잉(line drawing)의 효과
- 만성기 편마비 환자에서 상지 운동기능 회복에 대한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의 효과
- 급성기와 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수행력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적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 경증치매환자에서의 집단인지재활 치료효과 - 작업치료 치료과정모델을 중심으로 -
- Work sampling 기법을 이용한 자동차부품공장 근로자의 근골격계질환 위험수준 분석
- 이상행동을 가진 치매노인에게 적용한 다감각환경의 효과에 관한 고찰
- 재활병원에 입원한 척수손상환자들의 작업수행 문제들과 시간사용에 관한 연구
- 직업에 복귀한 요통산재근로자에 대한 작업강화 프로그램 효과
- 무게감 있는 조끼를 적용한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아동의 뇌파변화
- 뇌졸중 환자에 대한 체간 조절과 균형 및 일상생활활동작 평가 도구의 비교 ; PASS, TCT, BBS, FM-B, MBI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 사회복지 전공 대학생들의 안전교육 필요성에 관한 조사
- 성인의 비자살적 자해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 노인의 디지털 접근성과 사회적 고립 간의 관계: 2023 노인 실태조사 기반 분석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간호대학생의 리더십과 핵심간호역량과의 관계에서 윤리적 민감성의 매개 효과
- 다문화가구 과체중 및 비만 성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 Factors Influencing the Parental Self-Efficacy of Vietnamese Immigrant Mother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