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하지 절단자의 절단부위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e Life Satisfaction Status in Lower Limb Amputee Subjects Based on Amputation Level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김장환 이택영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9권 제1호, 111~12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10.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tatus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amputees from July 9, 2001 to August 18, 2001. Questionnaire survey was collected from lower extremity amputees using the services of prosthetic and orthotic centers in five Veterans Hospitals (Seoul, Busan, Gwangju, Daeku, and Daejun), Seoul Tehlin prosthetic and orthotic center, Chunan prosthetic and orthotic center, and Junju Lee Ganga rehabilitation institute. Amputees were grouped as trans-tibial amputees, trans-femoral amputees, and bilateral amputees based on amputation
level.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 performance of social role, and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revealed findings as follows: 1) The number of subject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tudy was 113 (109 men, 4 women), and the mean age of subjects was 53.65 years (age range=22-74 years). 2) The time of amputation was at their second decade mostly (72.6%), and the most common etiology of amputation was trauma (91.2%). 3) The most common type of
amputation was trans-tibial amputation (59.3%). Subjects who were employed was 68.1% before amputation and 47.8% after amputation. Subject had income regardless of being employed or unemployed after amputation. 4)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scores of social role and the scores of life satisfaction in three groups(p<0.05). 5) The significant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was income status and occupational role among variables(p<0.05).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V.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환경미화분야의 작업요구기능분석과 기능행동분석
- 주요일간지의 장애인관련사설 내용분석
-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에 있어 상상연습의 적용 가능성
- 컴퓨터-보조인지프로그램이 뇌손상환자의 인지, 지각, 일상생활에미치는 효과
- 일반아동과 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능력비교
- 하지 절단자의 절단부위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
- 시지각장애가 일상생활동작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인간의 작업성 모델(The Model of Human Occupation)이 작업치료학에 미친 영향
- 장갑의 착용 유무에 따른 민첩성 평가도구의 수행 속도 비교와 각 도구간의 상관성
-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LOTCA)를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인지 기능 평가 : 6∼12세
- 전국 작업치료과 대학생들의 학과선택기준과 대학생활에 관한 연구
- 인지기능의 전이 훈련이 뇌경색과 뇌출혈환자의 인지기능과 운동기능회복에 미친 효과
-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인자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