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지각장애가 일상생활동작 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the Symptoms of Visual-neglect on ADL Progress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채수경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9권 제1호, 95~10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10.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longitudinal study of CVA patients has two parts: the first with 50 subjects and the second with 24 subjects. The first part of study shows that in making a prognosis of the early stage of CVA, the factor of visual neglect is most critical.
The second part suggested that I-ADL is a better criteria than ADL for long-term CVA patients.
1) In the first study, the 50 subjects, hospitalized in the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Korea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8 to December 1999, were divided by the result of their MVPT (Motor Free Visual Perception Test) into two groups: one with visual neglect and the other with no visual neglect. In terms of 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group with visual neglect significantly scored less that the group with no visual neglect. This result strongly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the factor of visual neglect is closely related with the CVA patients’ progress of ADL.
2) After two years, the follow-up study on remaining 24 clients (4 deceased, 22 unreachable) has been conducted in an attempt to identify any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progress of ADL and I-ADL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between two groups: neglect and neglect-free group. At this time, the ADL of both groups have remarkably improved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However, both groups still scored significantly low in I-ADL.
3) These results lead us to the conclusion that only in the early rehabilitation period, the factor of visual neglect is very useful to predict a prognosis of the CVA patients. In addition, it is reasonable to suppose that rehabilitation for the chronic CVA patients should be guided by I-ADL rather than ADL.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환경미화분야의 작업요구기능분석과 기능행동분석
- 주요일간지의 장애인관련사설 내용분석
-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에 있어 상상연습의 적용 가능성
- 컴퓨터-보조인지프로그램이 뇌손상환자의 인지, 지각, 일상생활에미치는 효과
- 일반아동과 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능력비교
- 하지 절단자의 절단부위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
- 시지각장애가 일상생활동작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인간의 작업성 모델(The Model of Human Occupation)이 작업치료학에 미친 영향
- 장갑의 착용 유무에 따른 민첩성 평가도구의 수행 속도 비교와 각 도구간의 상관성
-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LOTCA)를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인지 기능 평가 : 6∼12세
- 전국 작업치료과 대학생들의 학과선택기준과 대학생활에 관한 연구
- 인지기능의 전이 훈련이 뇌경색과 뇌출혈환자의 인지기능과 운동기능회복에 미친 효과
-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인자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자폐 스펙트럼 장애 아동의 정신건강 중재에 대한 연구 동향: 계량서지학적 분석
-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부모 매개 중재(Parent-mediated intevention)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