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인자분석
이용수 4
- 영문명
- actor Analysis of Elements Affecting Activities of DailyLiving in Stroke Patients
- 발행기관
- 대한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이택영 김장환
- 간행물 정보
- 『대한작업치료학회지』제9권 제1호, 25~36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10.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are tasks of self-care, functional mobility, functional communication, home management, and community living that enable an individual to achieve personal independ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ctors on ADL in stroke patient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nction of upper extremities and ability of ADL. Thirty-one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ignificant functional gains between admission and discharge on the MFT score, dexterity, and the motor FIM(p<0.01).
2) There were moderate correlation between MFT score of the non-affected side and motor FIM score at discharge(r=0.499, p<0.01) and high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dexterity of non-affected hand and motor FIM score at discharge(r=-0.704, p<0.01).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motor FIM score among academic background groups (p<0.01).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motor FIM score among caregiver groups (p<0.01).
5) Four factors were found. one factor comprised dexterity of non-affected hand at admission and discharge and duration of treatment. Two factor comprised MFT of non-affected side at admission and discharge and academic background. Three factor comprised MFT of affected side at admission and discharge and caregiver. Four factor comprised sex and affected sid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V.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환경미화분야의 작업요구기능분석과 기능행동분석
- 주요일간지의 장애인관련사설 내용분석
-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에 있어 상상연습의 적용 가능성
- 컴퓨터-보조인지프로그램이 뇌손상환자의 인지, 지각, 일상생활에미치는 효과
- 일반아동과 발달장애아동의 감각처리능력비교
- 하지 절단자의 절단부위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
- 시지각장애가 일상생활동작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인간의 작업성 모델(The Model of Human Occupation)이 작업치료학에 미친 영향
- 장갑의 착용 유무에 따른 민첩성 평가도구의 수행 속도 비교와 각 도구간의 상관성
- Loewenstein Occupational Therapy Cognitive Assessment(LOTCA)를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인지 기능 평가 : 6∼12세
- 전국 작업치료과 대학생들의 학과선택기준과 대학생활에 관한 연구
- 인지기능의 전이 훈련이 뇌경색과 뇌출혈환자의 인지기능과 운동기능회복에 미친 효과
-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인자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