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의 다문화 이해와 다문화 태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이용수 29
- 영문명
- The Mediated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Attitude of Elementary-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다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장성민 정민수
- 간행물 정보
- 『다문화교육연구』제6권 제4호, 151~16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다문화 이해와 다문화 태도의 관계에서 학교생활적응에서 영향을 미치는 자아존중감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자는 전라북도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 4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다문화 이해가 다문화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부분 자아존중감에 의해 매개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사회에서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다른 문화를 수용하려는 태도를 함양하기 위한 방안으로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실천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mediated effect is shown in self-esteem, which influences adjustment to school lif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attitude of elementary-school students. Data was col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of 424 students in grades 5 and 6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Jeollabuk-do. The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and AMOS 21.0 program software packages. The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ed effect of self-esteem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multicultural understanding on multicultural attitude is considerably mediated by self-esteem. This result raises the need to develop and provide practical programs that can enhance self-esteem in order to cultivate the attitude to understand and accept various different cultures in a multicultural society.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초등교육연구 제24집 목차
- 과학 교과서의 ‘과학 이야기’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교육적 인식과 활용 실태
- 글로벌 교원 역량 강화를 위한 제주대학교 GTU 교육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조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