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강점 관련 국내 코칭 연구 동향 분석
이용수 84
- 영문명
- Analysis of domestic coaching research trends related to strengths
- 발행기관
- 아시아상담코칭학회
- 저자명
- 이동욱 정용석
- 간행물 정보
- 『Asia Counseling and Coaching Review』제3권 제1호, 19~3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감성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8.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강점 관련 국내 코칭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강점 관련 국내 코칭 연구에 기초자료 및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2011년부터 2020년까지 발간된 국내 학술논문과 학위논문 총 36편을 분석 대상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선정한 논문을 연구 시기,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 변인, 연구 발간 유형별로 분류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강점 관련 국내 코칭 연구는 2011년에 처음 발간되어, 2015년을 기점으로 연구 편수가 늘어났다. 둘째, 연구 대상은 청소년(36.1%)과 대학생(25%), 성인(22.2%)이 주로 연구된 대상이었으며, 노인 대상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셋째, 연구 방법은 실험연구(77.8%)가 다수를 차지하여 연구 방법의 편중이 심하였다. 넷째, 연구 변인을 변인의 속성에 따라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심리 정서유형에 16개 변인, 진로 직업유형에 13개 변인 등 총 51개 변인이 총 83회 연구에 활용되었다. 다섯째, 연구 발간 유형은 석사학위 논문이 다수였다. 위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강점 관련 국내 코칭 연구에서 다뤄져야 할 연구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and implications for domestic coaching research related to strengths by analyzing trends in domestic coaching research related to strengths. To this end, a total of 36 domestic academic papers and dissertations published from 2011 to 2020 that meet the selection criteria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selected papers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them by research period,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research variable, and research publication type. Analysis Results First, domestic coaching studies related to strengths were first published in 2011, and the number of studies increased from 2015. Second, the study subjects were mainly adolescents (36.1%), university students (25%), and adults (22.2%), and no studies on the elderly were conducted. Third, as for the research method, experimental studies (77.8%) accounted for the majority, so the research method was highly biased.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variables by classifying them into 6 types according to the attributes of the variables, a total of 51 variables including 16 variables in psychological/emotional type and 13 variables in career/occupational type were used in a total of 83 studies. Fifth, the majority of research publication types were master's thesi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we inte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direction that should be dealt with in future strength-related coaching studies in Korea.
목차
I.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BEST
- 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장년 대상 관점에서-장년 대상 관점에서-
- 국내 다문화 아동·청소년 미술치료 연구 동향분석: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2015-2023)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조사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NEW
- 라이프코칭에서의 그룹코칭 적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반려견 양육자의 반려견 의미에 대한 귀납적 내용 분석: 에니어그램 3, 6, 9유형 중심으로
- 청소년의 명상코칭 경험에 대한 주관성 연구: 여자중학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