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우울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25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Cognitive Behaviour Art Therapy upon Depression and Self-efficacy in a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
- 발행기관
- 아시아상담코칭학회
- 저자명
- 최경애
- 간행물 정보
- 『Asia Counseling and Coaching Review』제2권 제1호, 34~53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감성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을 대상으로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우울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14세 다문화가정 청소년으로 초기 면담에서 우울 특성 증상이 발현되고 있는 대상으로 하였다. 사전검사로는 MMPI-A(미네소타주 다면적 인성검사 청소년용) D(우울)척도 T점수가 70점 이상, 자기효능감 척도 69점 결과를 보인 단일 사례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그림 검사로는 K-HTP, KSD를 실시하였다. 첫째,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MMPI-A(미네소타주 다면적 인성검사 청소년용) D(우울)척도와 하위영역인 D1, D2, D3, D4, D5, K-HTP(동적 생활화)에서도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둘째,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기효능감 전체와 하위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영역인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영역, KSD에서도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우울 감소와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해 지속 가능성과 다양성을 겸비한 프로그램 연구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bout the influence of the cognitive behaviour art therapy upon depression and self-efficacy in a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 targeting an adolescent of multi-cultural family. A research subject included a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 at the age of 14 who is being expressed a symptom of a depression characteristic at the early interview. A pre-test was selected a single-case research subject who showed the outcome with over 70 points for MMPI-A(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for Adolescents) D(depression) Scale T-score, and with 69 points for self-efficacy scale. A drawing test was carried out K-HTP KSD. First, the cognitive behaviour art therapy was indicated to have an effect on the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depression. A significant change was shown in MMPI-A(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for Adolescents) D(depression) Scale and even in D1, D2, D3, D4, D5, K-HTP(Knetic Drawing), which are sub-areas. Second, the cognitive behaviour art therapy appeared to have an impact on the whole of self-efficacy in the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 and on the sub-areas. A significant change was shown even in self-confidence, self-regulated efficacy, task difficulty section, KSD that are
sub-areas. Accordingly, there will be a need to be made research and development in a program, which combines sustainability and diversity, in order to decrease depression and improve self-efficacy in a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BEST
- 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라이프코칭 연구동향 및 라이프코칭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긍정심리기반 중·장년 대상 관점에서-장년 대상 관점에서-
- 명품 소비심리가 브랜드 충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Z세대를 중심으로
-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부모교육에 대한 요구조사
복합학 > 감성과학분야 NEW
- 웹드라마 선택요인과 지속시청의도 간의 관계분석 연구
- 인구변화가 경상수지에 미치는 영향
- 뷰티산업별 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MZ세대 뷰티산업 종사자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