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전환 미술교육 현장의 자문화기술적 탐구
이용수 69
- 영문명
- Autoethnographical Research on Digital Transformation in the Art Education Fields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정옥희
- 간행물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제18권 제3호, 123~14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연구자 자신이 미술교육의 현장에서 겪은 디지털 전환의 딜레마에 대한 자전적 이야기를 시작으로 다양한 경력을 가진 미술교육 실천가들의 경험담을 자문화기술지로 조사 탐구한다. 연구의 목적은 미술교육 현장에서 교육자들이 체감하는 디지털 전환에 대한 의미해석을 문화적 담론으로 바라보고 교육으로의 이행 상황을 진단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첫째, 대학에서 예비교사 교육을 담당하는 미술교육자, 교양교육으로서 미술을 가르치는 대학교수, 중등학교 미술교사 2인으로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디지털 전환의 시대적 징후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고 미술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 있는지에 대한 경험담을 공유하였다. 둘째, 다양한 교육 경력을 가진 4명의 연구 참여자들의 자전적 이야기를 자문화기술지로 수집하였다. 셋째, 수집된 자료를 현장에서 디지털 전환을 인식하는 방법과 문화적 수준에서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보수적, 온건적, 비판적인 서로 다른 해석학적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살아있는 개인의 경험을 사회문화적 담론으로 해석하는 자문화기술적 탐구로서 미술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디지털화의 과정이 현재 비즈니스 산업계의 정보통신 분야에서 촉발된 사회경제적 측면의 디지털 전환의 의미와 어떤 차이점이 있고, 교육적 실천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고찰이라고 할 수 있다. 미술교육 현장 실천가들로 구성된 4인의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얻은 이 연구의 결과는 '디지털 전환'의 의미는 자신이 받아온 교육 경험에 따라 각기 다른 해석적 관점을 형성하게 되므로, 예술을 가르치고 배우는 방법론은 시대적으로 유동적인 변화의 과정 속에서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전통적인 미술교육의 역할이 인간의 잠재적 창의성 개발이라는 면에서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는 보수적인 관점들이 디지털 전환의 기술적 방법 뿐만 아니라 유동적인 특성과 사회문화 전반에 미치는 비판적인 담론에 의해 그 역할이 재발견되고 구축되어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and analyze the discourses of various art education practitioners about their experiences of the transitional processes about digitalized art education practices, starting with my autobiographical story. The method of this study is first to collect anthropologically the beliefs of art education based on the autobiographical stori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 agreed to share the dilemma of practical implementation of art education in the process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n to analyze their stories as self-narratives how to recognize digital transformation in art education and what it means at a cultural level.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carried out by autoethnography that interprets the experiences of living individuals as socio-cultural discourse. Through analyzing their vivid experiences of the digitalized processes in the art education fields, the meanings of ‘digital transformation’ are being interpreted by the three different interpretations with conservative, moderate, and critical perspectives as a cultural discourse.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Research Methodology
Ⅳ.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Ⅴ. Conclusion
Bibliography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