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심리적 소진을 경험한 특수교사 대상 융합예술치료 사례연구
이용수 206
- 영문명
- A Case Study of Convergence Arts Therapy for a Special Education Teacher Who Experienced Psychological Burnout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이에스더
- 간행물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제18권 제3호, 67~9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적 소진을 경험한 특수교사의 융합예술치료 참여와 그 과정에서 느끼는변화의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 초등학교 및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특수교 사 3명이며, 심층면담 과정에서 융합예술치료를 적용하였다. 연구기간은 2022년 7월 25일부터 8 월 12일까지 3회동안 진행되었고, 1회당 180분으로 진행하였다. 심층면담 중에 실시한 융합예술 치료를 통한 심리적 소진 변화 경험의 의미에 대해 질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정서적 고갈과 성취감 저하의 심리적 소진을 경험한 참여자들이 자신들의 심리적 안정 의 변화과정을 통해 회복되는 것을 인식하였다. 둘째, 융합예술치료 활동을 통해 참여자들의 심 리적 위축, 무기력과 우울에 대한 언어 및 비언어적 표현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작품 표현에서 부정적 감정의 감소외 자기 수용적이고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이에 본 연 구는 융합예술치료가 특수교사의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키는 데 긍정적 변화를 가져다 주었다는 것과 이 과정에서 참여자의 내면 정화와 성취감 경험을 통해 삶의 의미와 본질적 가치를 재확립 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articipa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psychological burnout and the meaning of changes felt in the proc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and special schools in D Metropolitan City, and convergence arts therapy was applied in the in-depth interview process. The study period was from July 25 to August 12, 2022, and was conducted a total of 3 times, 180 minutes per session. The qualitative analysis results of this cas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cognized that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psychological exhaustion due to emotional exhaustion and reduced sense of achievement recovered through the process of changing their psychological stabilit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s of psychological atrophy, helplessness and depression of the participants due to psychological exhaustion were reduced through convergence arts therapy activities. Third, there was a decrease in negative emotions and self-accepting and positive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works. Therefore, this study found that convergence arts therapy brought about positive changes in reducing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establish the meaning and essential value of one's life through the experience of inner purification and achievement of participa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융합예술치료의 적용과 사례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