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디자인씽킹 기반 수송기술 단원 학습 효과
이용수 135
- 영문명
- The Effect of Design Thinking-Based Transportation Technology Learning to Improve Middle School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 발행기관
- 한국기술교육학회
- 저자명
- 금지혜 최유현 윤지아
- 간행물 정보
-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23권 제2호, 91~11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 교과의 수송기술 단원에서 디자인씽킹 기반 학습이 중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학교 기술 교과 수송기술 단원의 학습요소인 전기자동차를 주제로 디자인씽킹 기반 학습을 설계하고, A 중학교의 120명에게 적용하여,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중학생을 위한 디자인씽킹 기반 수송기술 단원 학습은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에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문제해결력 하위 요인 5개 영역에서 모두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설계한 디자인씽킹 기반 수송기술 단원 학습은 중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 나아가 본 연구가 중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디자인씽킹 기반 학습 관련 후속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길 바라며, 디자인씽킹을 기술 교과의 다양한 영역과 주제에 적용한 후속 연구가 이어지길 바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Design Thinking-based learning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Transportation Technology lesson in the middle school technology subject. A Design Thinking-based electric vehicle manufacturing class was designed for 120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Transportation Technology lesson of the technology curriculum.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prove the effect of the Design Thinking-based Transportation Technology lessen on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student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all five sub-factor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learning of the Design Thinking-based Transportation Technology lesson was appropriate for improving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s experiment prove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follow-up studies that apply Design Thinking to technical subjects to improv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at follow-up studies that apply Design Thinking to various topics and units of technical subjects will continu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