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의과대학 전공역량 모델링 및 역량지표 개발

이용수  82

영문명
Modelling of the Major Competencies and Developing of Competency Indicatives for Korean Medicine Colleges
발행기관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저자명
이해듬
간행물 정보
『대학 교수-학습 연구』제15권 제4호, 57~8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교육을 현장 중심으로 현실화해야 한다는 요구를 반영하고, 한의사가 수행해야 할 1차 진료의 직무 분석을 기반으로 전공역량 모델링을 하였다. 전공역량 모델링은 교육과정 편성뿐만 아니라 실제 교과목 수업단위까지 연계할 수 있도록 ‘전공역량, 하위역량, 구성요소, 역량지표’의 구체적인 체계로 개발하고 내용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관련 선행연구 분석과 한의과대학 사례를 분석하여 현행 혼재되어 활용되고 있는 한의과대학 전공역량 모델링 체계를 재정립하였으며, 한의사의 직무분석을 기반으로 한의과대학 전공역량을 도출하여 타당성 검증을 수행하였다. 최종 개발한 한의과대학 전공역량은 통합적 진찰 역량, 최선의 진료 역량, 윤리적 의료 경영 역량, 의료 전문성 계발 역량으로 총 4개의 전공역량과 8개 하위역량, 24개 구성요소을 개발하였으며 각 전공역량과 하위역량의 정의와 구성요인별 역량지표까지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한의과대학의 역량기반 교육으로 전환에 대한 요구에 따라 한의과대학의 전공역량기반 교육과정을 현장 중심으로 편성하고 실제 수업단위까지 실효성 높게 연계할 수 있는 토대로 매우 의미있고 현장 활용성 높은 연구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odel the major competencies for the Korean Medicine colleges by reflecting the needs for a field-centered education and referr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Koreanme dicine doctors’ primary treatment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developed s of ‘major competency, sub-competences, components and indicatives’ so that the actual curriculum units could be encompassed, and thereby, be verified for their content validities. In addition, preceding studies and conditions of Korean Medicine colleges were examined to re-establish the system of modelling the major competencies for the colleges, and thereby, the major competencies were modelled to be verified for their validity based on Korean Medicine doctors’ job analysis. As a result, a total of 4 major competencies could be developed: integrated treatment competency, bona fide treatment competency, ethical medical service management competency and medical professionalism development competency. Besides, 8 sub-competences and 24 components thereof could also be developed. Furthermore, each major competency and its sub-competences were defined, while the competency indicatives per component were suggested.

목차

I .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해듬. (2022).한의과대학 전공역량 모델링 및 역량지표 개발. 대학 교수-학습 연구, 15 (4), 57-84

MLA

이해듬. "한의과대학 전공역량 모델링 및 역량지표 개발." 대학 교수-학습 연구, 15.4(2022): 57-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