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코칭역량과 전문성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70
- 영문명
- The Effect of Early Child Teacher's Coaching Competency and Teacher Professionalism on Interaction with Infants
- 발행기관
- 한국부모교육학회
- 저자명
- 박지혜 도미향
- 간행물 정보
- 『부모교육연구』제20권 제1호, 47~6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코칭역량과 전문성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충청남도 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361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Cronbach’s 계수를 산출하였고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교사의 코칭역량, 전문성, 유아와의 상호작용 수준은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 변인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교사의 코칭역량과 전문성이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코칭역량과 전문성에 대한 이해와 중요성을 인식하고 유아와의 상호작용의 질을 높일 방안을 모색하여 유아와의 상호작용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aching competencies and expertise on the interaction with infants. This study surveyed 361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Chungcheongnam-do, and 337 copies were used as research data, except for those unfaithful. For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Cronbach's coefficient were calculated using SPSS 26.0, and Pearson moment-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oaching competency, professionalism, and level of interaction with infan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found to be high. In addition, all three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and coaching competency and expertis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raction with infants. This study aims to recognize the understanding and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aching competencies and expertise, to seek practical ways to improve the quality of interaction with infa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interaction with infa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