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래세대와 국민통합을 위한 보훈교육 활성화 방안
이용수 80
- 영문명
- A Study on the Promotion of Veterans Education for Future Generation and National Integration
- 발행기관
- 한국보훈학회
- 저자명
- 라미경
- 간행물 정보
- 『한국보훈논총』제21권 제4호, 41~6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세대와 국민통합을 위한 보훈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행 보훈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보훈의 의미와 가치를 알릴 수 있는 교육체계를 구축하고 보훈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국가보훈은 격동의 시대를 겪어온 대한민국 역사와 국가정체성의 상징이다. 우리 역사는 독립과 호국, 민주의 현장에서 자신을 던져 위기를 이겨내고, 공동체를 구해 낸 발걸음의 기록이다. 보훈은 이 역사의 현장을 기억하고, 그 주역들의 헌신과 공헌을 공동체 발전의 힘으로 만드는 것이다. 새롭게 전환되는 국면에서 미래세대의 다양해진 요구와 이에 부합할 수 있는 보훈의 의미와 가치를 알릴 수 있는 보훈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보훈교육 거버넌스 구축, 4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한 보훈교육 콘텐츠의 다양화, 보훈교육 전달체계의 다양화가 전제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lan to revitalize veterans education for future generations and national integration. To this end, we will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veterans education, establish an educational system that can inform the meaning and value of veterans, and seek ways to revitalize veterans education. The national veterans is a symbol of Korea's history and national identity, which has been through turbulent times. Our history is a record of our steps to overcome the crisis and save the community by throwing ourselves in the field of independence, patriotism, and democracy. Veterans are to remember the scene of this history and to make the dedication and contribution of its main players the power of community development. In the face of the new transition, there is a need for a veterans education program that can inform the diverse needs of future generations and the meaning and value of veterans that can meet them. To this end, the establishment of veterans education governance, diversification of veterans education contents based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diversification of the veterans education delivery system should be premi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보훈교육체계의 문제점
Ⅳ. 국민통합을 위한 보훈교육의 활성화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 - 정신간호실습 전ㆍ후 비교
-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정보 취득 어려움과 관련된 요인
- 지방 종합병원 밀레니얼 세대 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NEW
- 지역사회학 제26권 제1호 목차
- 희망과 존재 의미의 개인적, 사회적 조건: 아시아 3개국 비교를 중심으로
- 주택 재산권 보유 여부가 주거만족도와 주거선호에 미치는 영향: 신혼부부 가구를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