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동학대 대응체계 변화에 따른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심층사례관리 과제
이용수 558
- 영문명
- Tasks of in-depth case management in child protection agencie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child abuse response system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the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child abuse-
- 발행기관
- 한국사례관리학회
- 저자명
- 김경희 김연수 손가현
- 간행물 정보
- 『사례관리연구』제13권 제3호, 57~8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아동학대 대응체계의 공공화 이후, 아동보호전문기관의 현재 사례관리 수행 상황을 탐색적으로 파악하고 향후 심층사례관리 전담기관으로서의 방향성을 모색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2021년 7월부터 9월까지 아동학대전담공무원 5명을 대상으로 개별심층면접을 수행하였다. 인터뷰 질문은 공공과 아동보호전문기관과의 협력경험, 심층사례관리기관으로서의 역할 기대, 심층사례관리 업무 수행을 위한 향후 과제였고, 조사 내용은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공에서는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심층사례관리 수행에 대해 여러 가지 염려와 기대를 함께 표현하였고, 심층사례관리 전담기관으로서의 성공적 전환을 위해 필요한 실천역량과 환경적 조건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아동보호전문기관의 심층사례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실천적 및 정책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xploring the current case management performance of child protection agencies after the publicization of the child abuse response system, and finding the future direction as a specialized agency for in-depth child abuse case management. To this end, from July to September in 2021, we conducted individualized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child abuse investigation. The interview questions were about experiences of cooperation between public child protection sector and child protection agencies, expectations of child protection agencies’ role as an in-depth child abuse case management institution, and future tasks for in-depth case management agenc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tudy participants who represent the public sector expressed various concerns and expectations about the in-depth child abuse case management of the child protection agencies, and suggested the practice competencies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necessary for a successful transition to the in-depth case management institu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practice competencies and policy strategie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child protection agencies’ in-depth cases management institution were proposed as implications of the study.
목차
Ⅰ. 서 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자기수용 척도 개발을 위한 이론적 개념 형성과 확장 : 칼 로저스의 인본주의 성격 이론에 기초한 접근
- 사회복지상담과 불교철학의 융합 가능성 :이론·실천의 통합을 위한 개입 모형 제안
- 정신장애인을 위한 정신건강 증진접근의 개념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