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생의 가족수업 참여도와 부모자녀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이용수 104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the Association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Engagement in Family Education and Parent-Child Relationships
- 발행기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
- 저자명
- 주현정 최새은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제34권 제4호, 43~5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학교 기술⋅가정 가족수업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수업참여도와 청소년의 회복탄력성과 부모자녀관계의 메커니즘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중학생이 가족수업에 참여하는 정도와 부모자녀관계 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목적을 두었다. 연구대상은 세종시 소재 중학생 남녀 194명을 대상으로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PROCESS macro (Model 4)를 이용하여 부트스트래핑을 이용한 매개효과 검증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가족수업 참여도와 회복탄력성, 부모자녀관계 변인 간의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가족수업 참여도와 부모자녀관계 간에서 회복탄력성은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수업 중 학습자의 참여 정도에 따라 자신의 회복탄력성을 통하여 부모와의 관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가족수업에 참여하는 학습자만의 회복탄력성 향상으로도 부모와의 관계가 긍정적인 방향으로 향상되는 메커니즘이 검증됨을 보여주어 가족수업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mechanism of the academic engagement of middle schoolers participating in family education in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T&HEE), their resilience, and their parent-child relationship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the association between academic engagement and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94 middle schoolers in Sejong-si.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Model 4), a method for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using bootstrapping.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a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academic engagement, resilience, and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Second, the result shows resilience 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association between academic engagement and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These findings suggest the way to improve the relationship of adolescents with their parents is to enhance the middle school learners' resilience by actively participating in family education classes in T&HEE.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50세 이상 한국인의 식물성 단백질 섭취와 건강 관련 삶의 질과의 연관성: 국민건강영양조사 2016-2018
- 특성화 고등학교의 섬유⋅의류 전문 교과 교육과정 실태 분석 및 제안
- 고령 소비자의 인터넷 뱅킹 사용 자기효능감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60대와 70대의 비교
-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의생활교육과정의 방향
- 한국 대학생과 중국 대학생의 식행동 및 간식 섭취 비교 연구
- 중학생의 가족수업 참여도와 부모자녀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PBL(문제중심학습)을 이용한 대학 의류학 전공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학습효과
- 대학생의 쿡방 시청 실태와 식습관 조사
-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가정생활 분야의 진로교육내용 분석
- 고교학점제를 대비한 가정 교과 ‘1인 가구의 식사와 조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