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사회 거주 성인의 지각된 스트레스, 혈중 코티졸 수준 및 텔로미어 길이의 관련성
이용수 122
- 영문명
- Associations of Perceived Stress Level, Serum Cortisol Level, and Telomere Length of Community-dwelling Adult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기초간호학회
- 저자명
- 김아영(Kim, A Young) 김나현(Kim, Nahyun)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제24권 제4호, 235~242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o investigate associations of perceived stress level, serum cortisol level, and telomere length of community-dwelling adults in Korea. Methods: Data of a total of 135 community-dwelling adults aged over 40 years living in D metropolitan city from December 2020 to March 2021 were collected. Perceived stress level over the past month were measured using the Perceived Stress Score. Serum cortisol level was analyzed using a chemiluminescent microparticle immunoassay. Telomere length was determined using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23.0 was used to perform Chi-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Results: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serum cortisol level (r=.07, p=.402). Serum cortisol level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elomere length either (r=-.15, p=.081). However, the higher the perceived stress level, the shorter the telomere length (r=-.29, p=.001).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rceived stress might induce physiological stress, which might partially affect gene biology. Further longitudinal research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ived stress on telomere length. Intervention for relieving stress should be included in stabilizing the genetic environment of adults.
목차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뇌졸중 환자의 퇴원 후 재입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후향적 연구
- 간호대학생의 COVID-19 관련 지식, 감염위험지각, 두려움, 자기효능감이 COVID-19 감염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 거주 성인의 지각된 스트레스, 혈중 코티졸 수준 및 텔로미어 길이의 관련성
- The Effect of Working-hour Characteristics and Health Status of Nurses on Work–life Balance: Using the 5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 Factors Affecting Self-management Behavior among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in a Border Area of Southwest China
- Efficacy of Forest-Thermal Combined Therapy for Anxiety and Stress among Smoking-Cessation Attempters
- 간이식 환자의 퇴원 준비도와 자가간호와의 관계: 종단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Analyzing the Mediating Role of Lifestyle for Successful Aging Post-Retirement
- 노인의 사회적 고립 완화를 위해 중재한 무작위 대조군 실험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상지로봇치료와 거울치료를 병행한 상지로봇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손목의 기능적 움직임 향상에 미치는 차이: A Pilot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