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다문화가정 대상국가와의 교육교류사업」 참여 파견교사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이용수  215

영문명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s of the Outbound Exchange Teachers Participating in ‘Asia-Pacific Teacher Exchange’ Program of the Republic of Korea: Finding the Implications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저자명
박순용(Pak, Soon-Yong) 김종훈(Kim, Jong-Hun) 김상혁(Kim, Sanghyuk) 고석영(Go, Sukyung)
간행물 정보
『국제이해교육연구』제17권 제2호, 41~75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다문화가정 대상국가와의 교육교류사업」(APTE)은 2012년 이래 7개 교류국과 지속적인 교사초청과 파견을 통해 운영되는 교육사업이다. 이 연구는 APTE에 참여한 파견교사들의 경험과 이를 통한 세계시민교육의 의의를 질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첫째, 본 사업에 관여한 국가 간 교육체제 및 문화적 맥락; 둘째, 본 사업에 참여한 파견교사의 실제 활동과 학교 경험; 셋째, 교사들의 APTE 경험이 세계시민교육(GCED)에 대해 시사하는 바에 대해 살펴보았다. APTE 파견교사를 연구참여자로 섭외하여 심층면담한 자료와 관련 문헌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파견교사들은 교류국 현지에서 낯선 일상과 학교의 문화를 경험하면서 본국과의 맥락적 차이를 인식하고 현지인들과의 소통을 통해 서로에 대한 이해를 확장했다. 둘째, 생소한 일상체험과 문화적응 과정에서 새로운 교수법을 구상하는 등 본국과 대비되는 새로운 교육 경험을 통해 교육의 본질을 상기하고 성장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경험들은 GCED가 상호 문화 이해와 국제적 연대를 기반으로 하는 교육교류를 통한 관계의 형성 속에서 실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동시에 파견교사 개인의 차원에서는 교육의 본질과 교사로서의 사명에 대한 회복적 의미를 지닌다.

영문 초록

The Asia-Pacific Teacher Exchange(APTE), which began in 2012, is an international teacher exchange program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seven nations in the Asia-Pacific region. In this study, we sought to offer analysis and insight of the APTE program by looking into the experiences of the Korean teachers who participated. Through qualitative methods, mainly in-depth interviews and document analyses, we first looked at both the national and school contexts of education exchange, and then analyzed in detail the practices of the dispatched teachers in the actual school settings. In the end we came up with implications of their experiences and projected it within the framework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D). The findings suggest that GCED can be substantially implemented in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through educational exchanges based on intercultural understanding and international solidarity, while at the individual level of dispatched teachers, it has a restorative meaning for the fundamental nature of education thereby enabling them to rethink their role as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맥락과 관계
Ⅲ. 활동과 실천
Ⅳ. 논의 및 시사점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순용(Pak, Soon-Yong),김종훈(Kim, Jong-Hun),김상혁(Kim, Sanghyuk),고석영(Go, Sukyung). (2022).「다문화가정 대상국가와의 교육교류사업」 참여 파견교사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국제이해교육연구, 17 (2), 41-75

MLA

박순용(Pak, Soon-Yong),김종훈(Kim, Jong-Hun),김상혁(Kim, Sanghyuk),고석영(Go, Sukyung). "「다문화가정 대상국가와의 교육교류사업」 참여 파견교사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국제이해교육연구, 17.2(2022): 41-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