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원격수업운영에 대한 만족도 분석

이용수  45

영문명
Undergraduates’ Satisfaction of Online Classes: Focused on differences between Colleges
발행기관
한국국제교육교류학회
저자명
김성주(Kim Seong Ju) 소연희(So Yeon Hee)
간행물 정보
『국제교류와 융합교육』제1권 제1호, 46~60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19로 인해 대학에서 전면 실시하였던 원격수업운영에 대해 교과목별 대학생들의 만족도와 단과대학에 따른 대학생의 원격수업운영의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남의 K대학의 재학생 1,38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자료로 원격수업 운영 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사후검증으로는 Scheffé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양과목과 전공과목 모두 만족도가 높은 편이었으나 과제의 양의 적절성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낮았다. 둘째, 단과대학에 따른 과목별 원격수업운영의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특히 교양과목과 전공과목 모두 사범대학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았고, 공과대학 학생들의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셋째, 단과대학에 따른 학습자 영역인식의 만족도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시스템접속과 e-class유용성 문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특히 시스템 접속문제에서는 모든 학생들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원격수업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며, 원격수업에 대한 효율적이며 융통성 있는 구체적인 지침이 마련되어야 하고, 서버확장 등 교수학습환경 인프라 구축 개선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atisfaction of online classes of undergraduates who have experienced sudden online classes in college because of COVID-19,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the satisfaction of online classes depending on colleges. The participants were 1,380 college students.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and Post-hoc Scheffé were performed. Undergraduates were highly satisfied with online classes in cultural subjects and major subjects, whereas they showed low satisfaction with appropriateness of the assignmen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nline class satisfaction between colleges. Students at the College of Education were highly satisfied with online classes satisfaction, while engineering students were less satisfied with online classes satisfac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ents engagements between colleges. Regardless of colleges, students displayed low satisfaction in e-class server and teaching and learning infrastructu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we need to provide autonomous support and make an effectiv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such as server expansion and e-class improvement to enhance undergraduates’ self-directed learning. We also should come up with effective online classes guidelin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주(Kim Seong Ju),소연희(So Yeon Hee). (2021).대학생의 원격수업운영에 대한 만족도 분석.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1 (1), 46-60

MLA

김성주(Kim Seong Ju),소연희(So Yeon Hee). "대학생의 원격수업운영에 대한 만족도 분석."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1.1(2021): 46-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