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성화고등학교에 대한 이미지 분석: 부산지역 중학생을 대상으로

이용수  141

영문명
Image analysi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targeting middle school students in Busan
발행기관
한국직업교육학회
저자명
황미영 박종운 이광빈
간행물 정보
『직업교육연구』제41권 제3호, 87~10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6.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에 대해 중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이미지를 분석하여 학령기 인구감소와 학생모집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특성화고등학교의 학생선발에 도움을 주고 아울러 특성화고등학교의 미래정책설계에 보탬이 되고자 연구되었다. 연구의 모집단은 부산시 중학교 3학년 학생 6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표집은 부산지역의 4개 구에서 2개 학교씩 총 8개 중학교에서 진행하였다. 조사 도구는 Osgood 외(1957)가 제안한 의미분별법 조사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이 중 11개의 형용사 군을 선정하였으며 Cronbach’s ɑ 값은 .827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선호하는 형용사군의 차이를 보이는데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특성화고등학교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가 강했다. 둘째, 진학 희망 고교 유형에 따라서는 긍정과 부정의 이미지에서 격차가 크게 나타났다. 셋째, 평소 특성화고등학교의 양질의 정책을 잘 이해하는 학생일수록 긍정의 이미지가 강했다. 특히, 진학 희망 고교 유형과 3가지 특성화고등학교의 양질의 정책에서 공통적으로 긍정과 부정의 이미지 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형용사군은 ‘믿을 수 없는-믿을 수 있는’이다. 이는 중학생들에게 특성화고등학교 진학 선택에 큰 영향을 끼치는 이미지 중 하나는 신뢰의 부분이며, 이러한 신뢰의 형성 요인은 평소 특성화고등학교의 양질의 정책을 얼마나 이해하는지에 달려있고 자주 바뀌는 특성화고둥학교 정책에 대해 중학생들은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ag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Busan about Specialized High Schools to provide an academic basis for stable and continuous recruitment of Specialized High Schools in an era of declining school-age population.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650 students in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in Busan. The sampling was conducted at 8 middle schools in 4 districts in Busan, 2 schools each. The semantic discrimination method suggested by Osgood et al.(1957) was used as the research tool, and 11 adjective groups were selected among them, and Cronbach’s ɑ value was found to be 0.827.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referred adjective group according to gender, and male students had a stronger negative image of Specialized High Schools than female students. Second, there was a large gap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images depending on the type of high school desired. Third, students who usually understand the high-quality policies of Specialized High Schools have a stronger positive image. In particular, the group of adjectives that show a large difference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images in common in the high school type of high school desired and the high quality policies of the three Specialized High Schools is ‘unbelievable-reliable’. One of the images that greatly influences middle school students' choice to enter Specialized High Schools is trus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미영,박종운,이광빈. (2022).특성화고등학교에 대한 이미지 분석: 부산지역 중학생을 대상으로. 직업교육연구, 41 (3), 87-105

MLA

황미영,박종운,이광빈. "특성화고등학교에 대한 이미지 분석: 부산지역 중학생을 대상으로." 직업교육연구, 41.3(2022): 87-1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