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그린 케어-작업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원예작업수행도 및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393

영문명
The Effects of Green Care-Occupational Therapy Program for Elderly's Horticultural Work Performance and Cognitive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발행기관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6권 제1호, 63~76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5.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들을 대상으로 개인적⋅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그린 케어-작업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원예작업수행도 및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수행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그린 케어-작업치료 프로그램이 원예작업수행도 및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20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설계하였다. 연구는 단일군 사전-사후 실험설계를 적용하였다. 2021년 3월 12일부터 6월 11일까지 일주일에 한 번, 60분씩 총 12회기를 진행하였고, 평가는 첫 회기와 마지막 회기에 사전-사후 평가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그린 케어-작업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전반적인 원예작업수행도 및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 수준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그린 케어-작업치료 프로그램은 원예작업수행도의 하위영역에서 참여성, 관심 및 조력성, 언어소통 능력, 자아개념 및 주체성, 욕구-충동적 적응력, 대인관계 능력, 인지 및 문제 해결 능력, 운동지각 능력, 숙련도와 직업적응력에서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노인의 전반적인 인지기능 영역을 자극하여 시간 지남력, 장소 지남력, 기억회상, 주의집중, 그리기 영역과 노인의 전반적인 일상생활활동 수준을 증진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결론: 그린 케어-작업치료 프로그램의 참여와 수행 수준이 높을수록 인지기능이 증가하고 일상생활활동의 수행 수준이 증가한다. 본 연구를 통해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의료비를 절감시키는 중재 방안으로 그린 케어-작업치료 프로그램의 유용함을 규명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effect of green care-occupational therapy program on horticultural work performance, cognitive function, and daily living activity performance level for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through a green care-occupational therapy program that considers person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Methods :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een care-occupational therapy program on horticultural work performance, cognitive function, and daily living activity level, this study was designed for 24 elderly people. The study applied a single-group pre-post-experimental design From March 12, 2021 to June 11, 2021, a total of 12 sessions were held once a week for 60 minutes. Pre-evaluation and post-evaluation were conducted in the first and last sessions. Results : The green care-occupational therapy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verall horticultural performance, cognitive function, and daily living activity level of the elderly. Green care-occupational therapy program improved participation, interest and assistance, verbal communication ability, self-concept and identity, desire-impulsive adaptability, interpersonal ability, cogni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motor perception ability, proficiency, vocational adaptability. In addition, by stimulating the overall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orientation, place orientation, memory recall, attention, drawing areas, and the overall level of activity of daily living of the elderly were improved. Conclusion :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and performance level of the green care-occupational therapy program, the higher the cognitive function and the performance level of activitiy of daily living. Through this study, the usefulness of the green care-occupational therapy program was investigated as an intervention metho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nd reduce medical expenses in an aging socie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22).그린 케어-작업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원예작업수행도 및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16 (1), 63-76

MLA

. "그린 케어-작업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원예작업수행도 및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16.1(2022): 63-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