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뇌졸중 환자의 방문재활 연구 동향: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이용수 261
- 영문명
- Research Trends in Home Visit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Focusing on Korean Studies
- 발행기관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6권 제1호, 13~2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 방문재활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국내 방문재활 분야의 발전을 위한 연구 방향 및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00년 1월부터 ~ 2021년 10월까지의 국내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그중 본연구목적에 부합하는 총 13편의 연구를 선정하였고 각 연구를 연구 시기, 연구 유형, 연구 주제에 따른연구 방법 및 결과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시기별로 분석한 결과 가장 최근인 2020년 연구가 23.09%로 가장 많았고 연구 유형은 양적 연구84.62%, 문헌 연구 및 질적 연구는 각각 7.69%로 나타났다. 연구 주제별로 분석한 결과 방문재활에대한 효과 검증 연구가 53.84%으로 가장 많았으며 필요성에 대한 연구가 30.77%, 비용 분석 15.39%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국내 방문재활 연구에 대한 동향을 분석하였다. 국내 방문재활이 발전하기위해서는 방문재활 도입을 위한 정책 수립과 편리한 방문재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환자 및 보호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체계적인 방문재활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is study analyzes the trends of domestic Home-visit rehabilitation research for stroke patients and presents research directions and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Home-visit rehabilitation field in the future.
Methods : The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January 2000 to October 2021 were analyzed.
Among them, a total of 13 studies were selected that fit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n each study was analyzed by study period, and study type, study method, and the result according to the study subject.
Results : As a result of analyzing by study period, the most recent 2020 studies were the most common taking up 23.09%. As for the type of study, it was found that 84.62% of studies were quantitative in type and that literature and qualitative studies each accounted for 7.69%. As a result of analyzing by study subject,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visiting rehabilitation took up the most, which was 53.84%, followed by studies on the necessity of visiting rehabilitation, which accounted for 30.77%, and cost analysis, which accounted for 15.39%.
Conclusion : This study analyzed trends in domestic visit rehabilitation studies of stroke patients. In order for domestic visiting rehabilitation to develop, a systematic visiting rehabilitation system that meets the needs of patients and their guardians should be prepared to establish policies for the introduction of visiting rehabilitation and to provide convenient visiting rehabilitation servic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노인들의 인지 증진을 위한 보드도구 개발
- 이동보조기기 이용자의 일상생활자립에 대한 평가척도 개발
- 그린 케어-작업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원예작업수행도 및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 지역사회 통합 돌봄 대상자의 재활 서비스 이용에 따른 신체 능력의 차이
- 노인 인구의 운동 및 신체활동 정도에 따른 우울감과 인지장애 경험에 관한 연구
- 노인요양시설 입소 노인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 불안 및 죽음준비도가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뇌졸중 환자의 방문재활 연구 동향: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 이중과제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 파킨슨병 환자의 보호자에게 마음챙김기반 중재가 부양부담감과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안정적인 지역사회 통합돌봄을 위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역할에 대한 인식 연구: 보건의료복지 종사자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