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안정적인 지역사회 통합돌봄을 위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역할에 대한 인식 연구: 보건의료복지 종사자 중심으로
이용수 384
- 영문명
- A Study on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for Stable Integrated C are in t he L ocal C ommunity R ole R ecognition: Focusing on Health and Medical Welfare Workers
- 발행기관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6권 제1호, 23~3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안정적인 지역사회 통합돌봄을 실현하기 위한 효율적인 운영 및 역할강화 방안에 대해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2022년 1월 1일부터 2월 11일까지 전국의 보건의료복지 종사자 총 206명을 대상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역할 인식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직종 및 소속기관에 따른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과 크루스칼 왈리스 검정(Kruskal-Wallis 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직종에 따른 영역별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현실태는 지역사회 자원발굴 및 연계를 통한 효율적인 전달체계 구축, 다양한 형태의 개별 맞춤형 서비스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5), 필요도는 사례관리 강화 및 체계화, 다양한 서비스 확대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소속기관에 따른 영역별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현실태는 다양한 형태의 개별 맞춤형 서비스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필요도는 사례관리 강화 및 체계화, 포괄적⋅효율적 전달체계 마련, 다양한 서비스 확대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결론: 보건의료서비스 제공 대상자들의 노인장기요양보험 역할에 대한 현실태 인식보다 필요도 인식이 높았으며, 보건의료서비스를 연계한 전문적인 재가서비스 강화와 다양한 서비스 확대에 대한 필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지역사회 통합돌봄을 제공하기 위해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역할 강화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제도 및 재정 기반 시스템들과 효율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방안마련 또한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effectively operate and reinforce the role to realize stable integrated care in the local community.
Methods : From January 1 to February 11, 2022,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recognition of the role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among 206 subjects, health and medical welfare workers across the country.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by occupation type and affiliated institution One-way ANOVA and Kruskal-Wallis test was performed.
Results : The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in recognition by area according to occupation. In real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delivery system through the discovery and connection of local community resources, and various types of individually customized services(p<.05). In necess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rengthen and systematize case management, and expanding a variety of services(p<.05). The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in recognition by area according to affiliated institutions. The actual situa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various types of individually customized service areas, and the degree of necessity was strengthened and systematized in case management, and comprehensive &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provision of an efficient delivery system and expansion of various services(p<.05).
Conclusion : It was found that the recognition of necessity was higher than the reality recognition of the role of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by the health and medical welfare workers, and the need for strengthening professional home services linked with health and medical welfare services and expanding various services was found to be high.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노인들의 인지 증진을 위한 보드도구 개발
- 이동보조기기 이용자의 일상생활자립에 대한 평가척도 개발
- 그린 케어-작업치료 프로그램이 노인의 원예작업수행도 및 인지기능,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 지역사회 통합 돌봄 대상자의 재활 서비스 이용에 따른 신체 능력의 차이
- 노인 인구의 운동 및 신체활동 정도에 따른 우울감과 인지장애 경험에 관한 연구
- 노인요양시설 입소 노인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 불안 및 죽음준비도가 연명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뇌졸중 환자의 방문재활 연구 동향: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 이중과제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 파킨슨병 환자의 보호자에게 마음챙김기반 중재가 부양부담감과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안정적인 지역사회 통합돌봄을 위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역할에 대한 인식 연구: 보건의료복지 종사자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