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아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변화에 미친 변인별 효과 비교

이용수  14

영문명
The study on effects of various variables to improve positive attitud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9권 제1호, 115~13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6.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에 통합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비장애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인의 효과가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아동에 대한 비장애아동의 태도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인 장애체험 활동, 장애관련 영상자료 활용, 장애인의 수기 읽기 활동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학년 아동 125명을 선정하여, 3개의 실험집단과 1개의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3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의 신뢰도는 r = .889이었으며, 네 집단에게 실험 전후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으로 결과를 산출하였다. 장애체험 활동과 장애인의 수기 읽기 활동보다는 영상자료 활용이 장애아동에 대한 초등학교 비장애아동의 태도변화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영문 초록

There are many researches to improve elementary children's positive attitud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with various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acture experiences like children with disabilities, video materials related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reading essays which are written by children with disabilities. However, most researchers have studied to illustrate the effects of the only one independent variable to improve the elementary children's attitud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which independent variable was influenced to improve more elementary children's positive attitud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independent variables for this study were acture experiences like children with disabilities, video materials related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reading essays which are written by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e hundred twenty five children who were attending the fifth grade were participated.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hree experimental groups and one control group divided. Pre- and post-test were utilized with a thirty-questions questionnaire after five experimental s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two independent variables, acture experiences lik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reading essays which is written by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not related with the children's positive attitud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statistically; (b) the independent variable, video materials related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related to improve the children's positive attitud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concluded that video materials related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a excellent strategy to improve the children's positive attitud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05).장애아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변화에 미친 변인별 효과 비교. 놀이치료연구, 9 (1), 115-132

MLA

. "장애아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변화에 미친 변인별 효과 비교." 놀이치료연구, 9.1(2005): 115-1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