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아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변화에 미친 변인별 효과 비교
이용수 14
- 영문명
- The study on effects of various variables to improve positive attitud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9권 제1호, 115~13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6.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에 통합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비장애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인의 효과가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아동에 대한 비장애아동의 태도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인 장애체험 활동, 장애관련 영상자료 활용, 장애인의 수기 읽기 활동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학년 아동 125명을 선정하여, 3개의 실험집단과 1개의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3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의 신뢰도는 r = .889이었으며, 네 집단에게 실험 전후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으로 결과를 산출하였다. 장애체험 활동과 장애인의 수기 읽기 활동보다는 영상자료 활용이 장애아동에 대한 초등학교 비장애아동의 태도변화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영문 초록
There are many researches to improve elementary children's positive attitud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with various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acture experiences like children with disabilities, video materials related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reading essays which are written by children with disabilities. However, most researchers have studied to illustrate the effects of the only one independent variable to improve the elementary children's attitud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which independent variable was influenced to improve more elementary children's positive attitud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independent variables for this study were acture experiences like children with disabilities, video materials related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reading essays which are written by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e hundred twenty five children who were attending the fifth grade were participated.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hree experimental groups and one control group divided. Pre- and post-test were utilized with a thirty-questions questionnaire after five experimental s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a) the two independent variables, acture experiences lik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reading essays which is written by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not related with the children's positive attitud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statistically; (b) the independent variable, video materials related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related to improve the children's positive attitud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concluded that video materials related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a excellent strategy to improve the children's positive attitudes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반응성애착장애 아동의 부모-아 상호작용증진 프로그램 효과 연구
- 음성틱이 있는 아동의 모래놀이 치료 사례
- 과보호적 양육행동에 관련된 어머니와 아동의 특성
-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부부대화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및 어머니의 언어유형
- 성범죄 청소년의 정신사회적 특징
- 게임놀이치료가 방임된 아동의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 문학을 활용한 상호작용 놀이치료 프로그램이 우울아동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무망감, 자살구상 및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
- 장애아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변화에 미친 변인별 효과 비교
- 성학대 평가용 인형면접에 나타난 학령전 아동의 반응분석을 위한 탐색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Eating Disorders, Trauma, and Childhood Wounds
- 모래놀이치료에서 불안애착 치료자와 내담자의 애착유형에 따른 대뇌 혈류산소포화도의 동시화
- 숨 쉬는 그릇 항아리: 인내와 변화의 상징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