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범죄 청소년의 정신사회적 특징

이용수  58

영문명
The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juvenile sexual offenders : Comparisons with juvenile nonsexual offenders
발행기관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저자명
간행물 정보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9권 제1호, 39~5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6.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청소년 성범죄자에 대한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시작 단계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 성범죄자의 정신사회적 특징을 일반범죄 청소년과 비교해 봄으로써 청소년 성범죄자의 특징을 조사하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두 집단의 정신사회적 특징을 비교하기 위하여 K-YSR(Korean -Youth Self Report), UCLA 고독감 척도(Revised UCLA-Loneliness Scale), 강간통념 수용척도(Rape Myth Acceptance Scale), 공감도는 IRI(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성을 이용한 대응척도(Coping Using Sex Inventory) 등을 사용하였다. 범법행위로 법원의 수강명령을 받은 청소년 성범죄자와 일반범죄 청소년을 대상으로 했으며 청소년 성범죄자는 15명이고 청소년 일반범죄자는 26명이었다. 연구결과 청소년 성범죄자는 일반범죄 청소년과 사회성, 학업수행, 문제행동 등의 K-YSR 하위척도 평가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성범죄자는 일반범죄 청소년에 비해 상대에 대한 공감적 배려가 낮고 스트레스 상황에서 성을 이용한 대응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고독감, 강간통념수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에서 기존 외국의 연구결과와 다르게 고독감, 강간통념수용정도에서 성범죄 청소년과 일반범죄 청소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향후 연구에서 대상집단을 늘려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 상대에 대한 공감적 배려가 없고 강제적인 성행위는 서로에 대한 공감적인 배려가 기본이 되는 성행위와는 다르며 이는 공감적이지 않은 이들의 성장배경과 연관이 있다고 추측된다. 향후 연구에서 이들의 성장과정과 성범죄의 관련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While there has been increasing tendency of juvenile sexual offenders, they have not been studied systematically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juvenile sexual offenders. This purpose was done along with comparisons with juvenile nonsexual offenders. We used K-YSR(Korean-Youth Self Report),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Rape Myth Acceptance Scale, IRI(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and Coping Using Sex Inventory. 15 juvenile sexual offenders and 26 juvenile nonsexual offenders were participated. We use student's -t test as statistical method. Juvenile sexual offenders showed lower empathy and used sex as coping strategy more frequently than juvenile nonsexual offender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oneliness and rape myth acceptance . These were different with many previous other studies. Limits of this study are numbers of offenders are few and sexual offenders are in different conditions compared with nonsexual offenders. This thesis tried to say that the deficits and distortions of empathy, coping method, and loneliness were the results of devastating early parent-child relationship. But to do this we must have found the relationship of early attachment style and current deficits. This was left undone. We suggest the sex without empathic understand and as coping method under stressful situation are not like the sex with love. These are the result of not having been taken care of. Especially of empathic care from their parents. In this study we did not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ttach-menent style and sexual offending. This will be done in the following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 (2005).성범죄 청소년의 정신사회적 특징. 놀이치료연구, 9 (1), 39-52

MLA

. "성범죄 청소년의 정신사회적 특징." 놀이치료연구, 9.1(2005): 39-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