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모래놀이치료에서 불안애착 치료자와 내담자의 애착유형에 따른 대뇌 혈류산소포화도의 동시화

이용수  0

영문명
The Synchronization of Cerebral Blood Oxygen Saturation according to the Anxiously attached Therapist and Clients’ Attachment Types in Sandplay Therapy
발행기관
사단법인 한국임상모래놀이치료학회
저자명
신혜영(Hyeyoung Shin) 장미경(Mikyung Jang)
간행물 정보
『상징과 모래놀이치료』제16권 제2호, 35~74쪽, 전체 4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7,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모래놀이치료 장면에서 fNIRS(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를 사용하여 불안 애착 유형의 치료자와 두 가지 애착유형을 가진 내담자의 대뇌 혈류 산소포화도(HbO₂)의 동시화 양상을 측정 하였다. 이를 위해 사전 애착유형 검사 결과에 따라 치료자-내담자를 불안-불안, 불안-회피 유형의 쌍으로 구분하였다. 2회기의 모래놀이치료를 실시하였고 ‘모래놀이 장면 만들기’ 조건과 ‘완성된 모래놀이 장면에 대한 이야기 나누기’ 조건으로 나누어 매 회기 뇌 혈류 산소 포화도의 동시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불안-불안 애착 유형 쌍은 이야기 나누기 조건에서 더 높은 동시화가 나타났으며, 불안-회피 애착 유형의 쌍은 과제에 따라 치료자나 내담자의 대뇌 혈류 산소 포화도의 활성이 선행 또는 후행 반응으로 나타나 상대방이 따라가는 혼재된 시차 구조가 있긴 하였으나 동시화 반응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모래놀이치료에서 치료자가 안정애착 유형이 아니더라도 최소한 불안 및 회피 애착 내담자와 성공적인 공감적 상호작용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measured the synchronization patterns of cerebral blood oxygen saturation (HbO2) in Sandplay therapy sessions using functional Near-Infrared Spectroscopy (fNIRS), focusing on a therapist with anxious attachment and clients with two different attachment types. Based on pre-assessment results of attachment styles, therapist-client pairs were divided into anxious-anxious and anxious-avoidant groups. Two sessions of sandplay therapy were conducted, each consisting of two conditions: “creation of a sandpicture” and “discussion of the completed sandpicture.”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ynchronization patterns of cerebral blood oxygen saturation in each therapy session. The analysis revealed that anxious-anxious pairs showed higher synchronization during the discussion condition. For anxious-avoidant pairs, activation of cerebral blood oxygen saturation appeared as either leading or lagging responses by the therapist or client depending on the task, resulting in mixed lag structures; nevertheless, synchronization responses were pres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Sandplay therapy, therapists do not necessarily need to have a secure attachment style to achieve successful empathic interactions with clients of anxious or avoidant attach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혜영(Hyeyoung Shin),장미경(Mikyung Jang). (2025).모래놀이치료에서 불안애착 치료자와 내담자의 애착유형에 따른 대뇌 혈류산소포화도의 동시화. 상징과 모래놀이치료, 16 (2), 35-74

MLA

신혜영(Hyeyoung Shin),장미경(Mikyung Jang). "모래놀이치료에서 불안애착 치료자와 내담자의 애착유형에 따른 대뇌 혈류산소포화도의 동시화." 상징과 모래놀이치료, 16.2(2025): 35-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