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교육 프로그램 유형이 아동과 어머니의 상호작용, 아동의 충동성과 반항성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43
- 영문명
 - The effects of parent education program types on the interaction patterns of child-mother, on the hyperactivity & delinquency, and on the parenting stresses
 - 발행기관
 -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놀이치료연구』놀이치료연구 제13권 제1호, 75~9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4.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충동조절이 어려워 다루기 어렵다고 의뢰된 아동의 어머니에 대한 부모교육 접근과 아동 대상의 놀이치료가 아동과 어머니 간 상호작용 패턴과 아동의 충동성과 반항성, 그리고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의뢰된 학령전기 및 학령기 아동 8명과 그 어머니들로 총 8쌍의 아동-어머니 쌍이며 사전과 사후에 어머니-아동 상호작용 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집단의 아동-어머니 쌍들은 매 회기마다 PCIT와 ESBI에 기반을 둔 어머니교육과 아동을 대상으로 한 놀이치료가 실시되었다. 비교집단 C의 경우 어머니에 대한 교육이 실시되지 않았으며, 아동을 대상으로 놀이치료가 실시되었다. 비교집단 D는 무처치 통제집단으로 어머니에 대한 교육과 놀이치료가 실시되지 않았다. 연구 결과, 어머니 대상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집단은 아동에 대한 놀이치료만 제공된 비교집단에 비해 어머니-아동 상호작용이 개선되었으며, 어머니가 평정한 아동의 충동성, 반항성 수준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수준을 감소시키는 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PCIT에 기반을 둔 어머니교육은 ESBI 접근에 비해 관찰자가 평정한 어머니-아동 상호작용, 어머니가 평정한 아동의 충동성·반항성 수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감소에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was proceeded to test the effects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s based on PCIT and ESBI with the dyadics of child and parents who have difficulties with each other because of the child's impulsivity and delinquencies. PCIT program was consisted of those skills for the parents dealing with hyperactive, impulsive, and conduct problematic child. ESBI program was consisted of supports in emotional difficulties of parent herself and of the behavioral modification skills that can help dealing such troubles with the child in everyday life. Subjects were 8 pairs of child-mother and were randomly put into two groups of experimental group that has one of two kinds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as above and into another two control groups with one group having only play therapy with child and the other having no treatment. Programs were proceeded during about 20 to 24 sessions with each dyadic pairs and pre/post tests were executed before and after the whole periods of programs. The patterns of mother-child interaction in pre/post test sessions were observed and rated to be compared. And the levels of impulsivity and delinquency of the child and the levels of parenting stress index were measured by mothers to be analyzed in pre/post test sessions. The results showed mother-child interaction patterns were improved in experimental groups with parent education programs. The levels of impulsivity and delinquency of the child and the levels of parenting stress index were de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based on PCIT had more positive effects on those variables than ESBI progra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중년 여성의 우울감과 수면의 질 개선을 위한 셀프 경혈 마사지 경험 연구
 - 관광객의 반려동물 동반 관광에 대한 인식과 행동의도 분석
 - 대상관계와 이마고 이론을 적용한 중년부부 상담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