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인 의료재활시설 운영 실태분석

이용수  147

영문명
An Analysis on the Operation Situation of Medical Rehabilitation Institutions for Disabled People: Focusing on Seoul City
발행기관
한국복지경영학회
저자명
정종화(JEONG, Jong-Hwa) 이완희(LEE, Wan-Hee) 오홍진(OH, Hong-Jin)
간행물 정보
『복지경영학연구』복지경영학연구 제9권, 21~4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2.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장애인 의료재활시설은 장애인을 입원 또는 통원하게 하여 상담, 진단판정, 치료 등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손상된 신체적, 정신적 재활을 지원하는 병원이나 의원을 지칭하는 것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의료기관이 가장 많은 서울시를 중심으로 장애인 의료재활시설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정책 제언을 하고자 한다. 조사대상은 서울시 소재 6개의 장애인 의료재활 시설(병원급 3개소, 의원급 3개소)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서울시가 보조금을 지원하는 병원과 의원을 대상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3개의 재활병원과 3개의 재활의원의 보조금 집행기준은 달라야 한다는 것이다. 병원의 경우, 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60% 정도의 수준이나 재활의원의 경우 인건비차지 비율이 80%를 넘고 있고 종합재활치료를 추구하는 재활병원과 재활의원의 보조금 지급방식은 다르게 설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둘째, 서울시가 보조금 지급기준으로 적용하고 있는 기준은 재활병원 인증기준을 참고하여 보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재활 병·의원의 경우 일반병원과는 달리 소아재활의 빈도(1-19세 연령대)가 높은데 재활 수가가 낮은 관계로 소아재활의 외래진료는 재활병원·의원 모두에게 보조금 지원 필요성을 높여 지원 규모를 확대하여야 한다. 넷째, 장애인 의료재활 시설 보조금 지원을 위한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 민간병원에서 시행하기에 부담이 따르는 희귀난치성 질환자에 대한 재활 치료를 위해서도 공공의료 서비스 수준에서 재활 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공공지원의 확대가 절실히 필요한 상황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보조금 지원기준으로 병원의 경우 병상 및 낯 병동의 평균 운영병상수를 기준으로 보조금 집행기준을 정해야 하며, 유효가동률이 적용되어야 한다. 또한, 의원의 경우는 적정진료와 재활 치료의 기준을 제시하고 실태조사에서 나타난 3대 장애(지체, 뇌병변, 발달장애)로 특화된 재활 의료서비스를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medical rehabilitation institutions for disabled people refer to hospitals or clinics supporting disabled people s physical and mental rehabilitation through offering counseling, diagnosis judgment, and treatment by letting them hospitalized or receive outpatient treatme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situation of the medical rehabilitation institutions for disabled people, focusing on Seoul City where the most medical institutions are located in Korea. Based on the result, this research aims to present policy suggestions. The subjects of investigation were six medical rehabilitation institutions for disabled people in Seoul (three hospitals and three clinic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argeting the hospitals and clinics to which Seoul City offers subsidi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ubsidy execution standards of the three rehabilitation hospitals and three rehabilitation clinics should be different. Although the ratio of labor cost was 60% in the hospitals, the ratio exceeded 80% in the clinics.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ubsidy payment method for the rehabilitation hospitals and clinics to be separately set Second, the standards applied by Seoul City for subsidy payment need to be complemented by referring to the rehabilitation hospital certification standards. Third, child rehabilitation frequency (aged 1- 19 years) is high in rehabilitation hospitals and clinics, compared to general hospitals and clinics. However outpatient treatment of child rehabilitation increases the need for subsidy support for both rehabilitation hospitals and clinics and the support size should be expanded due to low medical fees. Fourth, standards of subsidy support for medical r ehabilitation institutions for disabled people need to be devised.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patients with rare and incurable diseases, the quality improvement of rehabilitation medical service and public support expansion at public medial service level are urgently required. Lastly, subsidy execution standards should be set, based on the number of sickbeds and the average number of operated sickbeds during the daytime in hospitals, and effective operation rate needs to be applied. For clinics, proper medical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treatment standards need to be presented. This research suggested the rehabilitation medical service specialized to three major disabilities (physical, brai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und in the fact-finding surve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장애인의료재활시설 실태조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종화(JEONG, Jong-Hwa),이완희(LEE, Wan-Hee),오홍진(OH, Hong-Jin). (2020).장애인 의료재활시설 운영 실태분석. 복지경영학연구, 9 , 21-41

MLA

정종화(JEONG, Jong-Hwa),이완희(LEE, Wan-Hee),오홍진(OH, Hong-Jin). "장애인 의료재활시설 운영 실태분석." 복지경영학연구, 9.(2020): 21-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