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 예술교육의 보편적 접근성 확립에 대한 소고
이용수 310
- 영문명
- A Study on Universal Accessibility of School Art Education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정은정(Eun-Jung Jung) 김용희(Yong Hee Kim) 김영미(Young Mee Kim) 배수영(Su-Young Bae) 박영주(Young Joo Park) 김지현(Jh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51권 제1호, 119~13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2.28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 예술교육의 보편적 접근성 확립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교육부와 문화체 육관광부의 학교 예술교육 정책과 주요 지원 사업에 대한 고찰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부의 ‘예술교육’과 문화체육관광부의 ‘문화예술교육’ 용어사용, 지원 사업 명칭과 내용 등에 대한 협의가 필요하다. 둘째, 지원 사업에서 균등한 기회 제공이 이루어 져야 한다. 셋째, 소통을 통한 체계적 사업 진행과 지속적 운영을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 넷째, 학교 예술교육정책에 대한 질적 성장과 방법에 고찰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학교 예술교육의 보편적 접근성 확립을 위해서 관련 부서 간 협력, 지원사업의 연계성과 지속성, 질적⋅양적 성장 등과 더불어 학교 교육과정 안에서 예술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views and analyzes the policies behind art education in schools, cre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o establish universal accessibility of art education in schools. It dives deep into the meaning behind the policies, the content for the main supported projects, period, and target schools by field. The main topics discussed about ‘universal accessibilit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concil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erminology usage by the Ministry of Education’s ‘art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s ‘culture and arts education’, so that the name and contents of the support project do not overlap. Second, there needs to be equal support and opportunities for projects given to art education in schools. Third, policies need to establish a systematic way to track project progress and continue operations through established communication. Fourth,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qualitative growth regarding the school arts education policies. In conclusion, to increase universal accessibility in school art education, art education needs to be implemented within the school curriculum, with the cooperation of related departments, connectivity and continuity of support projects, an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growth.
목차
Ⅰ. 서론
II. 학교 예술교육 정책과 의미
Ⅲ. 학교 예술교육 지원사업
Ⅳ. 학교 예술교육 지원사업에 대한 논의
V.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등학생들과 대학생들의 음악적 정체성 비교
- 통합학급에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정당한 평가를 실현하기 위한 초등학교 음악과 평가 방안 연구
- 타악기를 활용한 놀이 음악수업 지도 방안
- 학교 예술교육의 보편적 접근성 확립에 대한 소고
- 음악 문해력 관점에 의한 초등학교 3학년 음악 지도서 분석
- 대학급 클래스 피아노에서의 즉흥연주
- 음악교육 실행연구에 대한 Thomas Regelski 관점의 철학적 배경 고찰
- 보편적 접근성 확대를 위한 블렌디드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 ‘문화예술교육현장의 이해와 실습’ 과목을 중심으로 -
- 음악교육학회 2021 추계학술대회 보고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