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화에 나타난 탈북아동의 남한사회 적응 연구
이용수 20
- 영문명
- A Study of the Social Adaptation Process for Young Korean Refugees Represented in Children s Storybooks
- 발행기관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신세니(Se-Ni Shin) 유승희(Seung-Hee Yu) 조희숙(Hea-Soog Jo)
- 간행물 정보
- 『생태유아교육연구』제7권 제2호, 41~5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8.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탈북아동의 남한사회 적응 과정에서의 문제와 어려움을 해석하고 이해하는데 도움을 얻고, 이를 기반으로 다가올 통일 사회의 준비를 위한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탈북아동을 주제로 다루고 있는 네 권의 동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이들 작품들은 탈북아동들의 험난한 탈북과정에서부터 예견되는 남한사회 적응의 어려움과, 이들이 남한사회가 보이는 배타적인 태도 및 언어와 학업적 측면에서의 주된 문제들을 겪고 있다는 점, 그리고 새로운 관계 맺기를 통해 남한사회에 적응하려는 이들의 노력을 드러내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연구대상 동화들에서 전반적으로 드러나는 북한에 대한 시혜자적 관점과 민족적 동질성에 대한 고민이 요구되며, 남북한 서로의 이해차를 줄이고 그 바탕 위에서 공존 공영할 수 있는 자세를 기를 수 있는 방안으로서 탈북아동들과 남한아동들의 진정한 만남을 준비하기 위한 구체적인 통일교육이 필요하다 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4 children s stories in order to reveal how young Korean young refugees social adaptation was depicted on them. In these stories, it is revealed that the young Korean refugees have troubled with language and academic performance, and that South Korean society has taken the exclusive attitude for them. The stories review some ways to adapt through forming new relationships. But these stories remain with a view of favorer, and might show children s life from a exclusive perspective for the North Ko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followed in the literature: emphasizing warm and humane factors for the South Korea; respecting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rth and South for the peaceful relationship; drawing the sympathy and apprehension through the literary inspir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분석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포트폴리오 평가 활동이 유아의 기초 학습 능력 및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 대학 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및 한계에 관한 질적 분석
- 유아교사 및 예비교사의 편견 경험과 유아교육기관 다문화 교육의 방향모색
- 동화에 나타난 탈북아동의 남한사회 적응 연구
-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현장 적용 실태
- 그림동화를 활용한 문학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격성 행동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텃밭의 배추’ 프로젝트에서 유아들의 생태적 관계 이해 발전 과정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 인식 변화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 토픽 모델링 기반 유아교육 분야 인공지능 연구동향 분석
- 유치원 교사의 교육에 대한 이미지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