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이용수 25
- 영문명
- A Case Study about the Role of Art Teacher in the Pursuit of Aesthetic Art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최남정(Nam-Jung Choi)
- 간행물 정보
- 『생태유아교육연구』제7권 제2호, 83~10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8.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미술교육의 목표는 유아들이 자연, 사물, 사람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획득한 생각과 감정을 자발적이고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모든 교육이 그러하듯 미술교육 역시 교육 실천의 주체가 되는 미술교사의 역할에 따라 미술활동의 질이 결정된다. 즉 심미적 미술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미술교사가 심미적이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하고 독창적인 미술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한 어린이집의 미술교사를 선정하여 인터뷰함으로써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의 역할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미술교사는 유년시절을 회상하거나 미술학원 교사시절을 잊음으로써, 새로운 것을 경험함으로써, 유아들을 이해하고 교사들과 의견 및 자료를 나누는 과정을 통해 심미감을 고취시키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심미적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교사 자신의 인식변화가 필요하며, 가능한 교사도 심미적 경험을 하도록 해야 하고, 유아와 공감하고자 노력할 뿐만 아니라 동료교사와 학습공동체를 이루어 협력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해 주고 있다.
영문 초록
Art education aims at encouraging children to represent their ideas and feelings through interaction with nature, things and people around them in a spontaneous and creative manner. Like any other sorts of education, the quality of art education hinges on the roles of teachers who provide that education. This means that art teachers should be aesthetic enough to provide aesthetic art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ve into the due roles of art teachers for the sake of the realizing of aesthetic art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an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an art teacher from a daycare center offering diverse, aesthetic art education. The art teacher bolstered her aesthetic feelings by looking back on her early childhood days, putting aside her memories of teaching at an art academy, having new experiences, trying to understand preschoolers and sharing opinions and data with other teachers. The conclusion was that in order to be an aesthetic teacher, teachers need a change their mind-set and should enrich their aesthetic experiences. At the same time, they should try to sympathize with young children, to create a learning community with their colleagues and to fortify mutual collabor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변화하는 교사, 즐거운 미술
Ⅳ. 나누는 교사, 함께하는 미술
Ⅴ.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포트폴리오 평가 활동이 유아의 기초 학습 능력 및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 심미적 미술교육을 위한 미술교사 역할에 대한 사례 연구
- 대학 교육과정에서 예비유아교사의 텃밭활동 실천 형태, 의미 및 한계에 관한 질적 분석
- 유아교사 및 예비교사의 편견 경험과 유아교육기관 다문화 교육의 방향모색
- 동화에 나타난 탈북아동의 남한사회 적응 연구
-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현장 적용 실태
- 그림동화를 활용한 문학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격성 행동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
- ‘텃밭의 배추’ 프로젝트에서 유아들의 생태적 관계 이해 발전 과정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 유아교사의 지속가능발전 인식 변화 탐색: 개념도 분석을 중심으로
- 토픽 모델링 기반 유아교육 분야 인공지능 연구동향 분석
- 유치원 교사의 교육에 대한 이미지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