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실외 자유놀이시간에 나타나는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와 리더십과의 관계
이용수 57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 s engagement in rough-and-tumble play during recess and their display of leadership
- 발행기관
-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 저자명
- 최미숙(Mi-Sook Choi) 홍성희(Seong-Hee Hong) 전아영(Ah-Young Jeon) 배은영(Eun-Young Bae) 안세희(Se-Hee An)
- 간행물 정보
- 『생태유아교육연구』제12권 제2호, 91~11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실외 자유놀이시간에 나타나는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와 리더십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K시 A유치원 만 4~5세 유아 60명을 대상으로 행동관찰과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로 기술통계, 상관계수와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거친 신체놀이의 유형은 ‘쫓고 쫓기기’, ‘싸우는 척 하기’, ‘밀고/당기기’ 순으로 관찰되었다. 둘째,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남아가 여아보다 거친 신체놀이에 더 많이 참여하였고, ‘싸우는 척 하기’와 ‘치고 도망가기’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거친 신체놀이와 리더십 전체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리더십의 하위 요소 중 도전과 자신감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남아는 도전과 자신감, 여아는 문제해결력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거친 신체놀이는 리더십의 하위요인 중 도전과 자신감을 설명하는데 중요한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 s engagement in rough-and-tumble play and their display of leadership during recess. Study subjects were 60 young children aged four to five at “A” Kindergarten in “K” City. Observations of behavior and a questionnaire survey were used to gather data. The collected data were then processed using SPSS fo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the observed types of rough-and-tumble play were in order of frequency “chasing and fleeing”, “pretending to fight”, and “pushing and pulling”. Second, boys engaged in overall rough-and-tumble play significantly more than girls, and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irls and boysengagement in “pretending to fight” and “pushing and pulling”. Third, although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rough-and-tumble play and overall leadership, there were correlations between rough-and-tumble play and specific sub-factors of leadership: boys displayed a correlation between rough-and-tumble play and “challenge” and “self-confidence”, while girls displayed a correlation between rough-and-tumble play and “problem-solving ability”. Additionally, rough-and-tumble play was shown to be an important variable for explaining “challenge” and “self-confidenc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통섭(通涉)의 관점에서 본 생태유아교육의 의미 탐색
- 『밥을 이용한 말 실험』을 통해 살펴본 유아 언어태도의 의미탐색
-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 실외 자유놀이시간에 나타나는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와 리더십과의 관계
- 유아기 인성교육을 위한 유아교사의 훈육에 대한 의미 탐색
- 평화그림책에 반영된 에코페미니즘 분석
- 어머니의 문해 신념, 가정의 문해 환경, 유아의 문해 능력 간 인과적 관계
- 사회양극화에 따른 유아교육 양극화 현상에 대한 고찰
- 보육교사의 개인변인, 정서노동, 직무소진의 관계
- 유아 예술 활동을 통한 창의성 평가 루브릭(Rubric)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