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과정 체계 모형 연구
이용수 510
- 영문명
- Competency-based Co-curriculum Model Study: Focusing on the Case of K University
- 발행기관
- 한국비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소민(Lee, Somin) 김용수(Kim, Yongsu) 김남기(Kim, Namgi)
- 간행물 정보
- 『비교과교육연구』제1권 제1호, 43~6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3.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과정의 질 개선을 목적으로 비교과 교육과정 체계의 구체적인 모형을 제시하여 역량기반 교육의 효과를 증대시킬 뿐 아니라 대학 수준의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과정 개편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자 한다. K 대학의 사례를 활용하여, 대내․외 환경분석을 통해 대학이 직면하고 있는 환경요인을 분석을 토대로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방향성을 제고 하였다. 더 나아가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의 이론적 개념을 분석하여 환경과 수요자 요구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과정 체계 모형을 구축하였다.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과정 체계는 마음․뇌․교육(mind, brain, and education)의 이론과 Bronfenbrenner의 생태체계시스템(ecological systems) 이론을 반영하여 학습자의 인지적․정의적․심동적 영역을 총체적으로 바라보고 학습자 개인과 주변 환경을 연결하여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체계 모형은 모든 대학에서 역량기반 비교과 교육과정 설계 시 유용한 틀을 구성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o improve competency-based co-curriculum quality,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as well as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competency-based co-curriculum reform at the university level by presenting a concrete co-curriculum framework model by utilizing the case of K Universit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precedent studies related to competency-based co-curriculum, theoretical discussion about competency-based curriculum has not been sufficiently carried out, and still adds ambiguity to the theoretical discourse. In physical education. it is clear that there is difficulty in maintaining uniform competency-based program management at the university level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as well as different perceptions of competency concepts at the implementation level. By using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SWOT analysis, a co-curriculum framework model is contemplated based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facing the K university. Furthermore, a co-curriculum framework model is establish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environment as well as the results of the program demand survey and the university stockholders’ focus group. The competency-based co-curriculum model applies the theory of Mind, Brain and Education as well as Bronfenbrenner’s ecological systems theory in order to encompass the learner’s cognitive, affective and psychomotor aspects as a whole and to connect learners with their surroundings. The proposed approach can be readily used in practice. Also, the system model suggested in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constructing a useful framework for competency-based co-curriculum work in all universities.
목차
Ⅰ. 연구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